부산대역 복합개발 무산… 대학가 쇠락 가속화

나웅기 기자 wonggy@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BTO 방식 올해 준공 목표 추진 중
사업자 불이행으로 실시협약 해지
코로나·사업비 증액 변수에 좌초
도심 활성화 찬물… 대안도 없어

부산교통공사는 25일 ‘도시철도 1호선 부산대역 복합역사 개발’ 사업이 최종 무산됐다고 밝혔다. 대학 상권과 도심 활성화의 마중물이 될 것으로 기대됐던 복합역사 개발이 좌초돼 부산 금정구 일대 대형 대학가 상권의 쇠락도 우려된다. 사진은 부산대역과 주변 전경. 김종진 기자 kjj1761@ 부산교통공사는 25일 ‘도시철도 1호선 부산대역 복합역사 개발’ 사업이 최종 무산됐다고 밝혔다. 대학 상권과 도심 활성화의 마중물이 될 것으로 기대됐던 복합역사 개발이 좌초돼 부산 금정구 일대 대형 대학가 상권의 쇠락도 우려된다. 사진은 부산대역과 주변 전경. 김종진 기자 kjj1761@


노후 지하철 역사를 상업·문화 시설로 탈바꿈시키려던 부산대역 신축 복합역사 개발 사업이 끝내 무산됐다. 대학 상권과 도심 활성화의 마중물이 될 것으로 기대됐던 복합역사 개발이 좌초돼 부산 금정구 일대 대학가 대형 상권의 쇠락도 우려된다. 대학가 상권 침체가 장기화될수록 지역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돌파구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부산교통공사는 25일 ‘도시철도 1호선 부산대역 복합역사 개발’ 사업이 최종 무산됐다고 밝혔다. 교통공사에 따르면 4개 건설사로 구성된 사업시행자 (주)부산대역사개발이 실시계획 승인 재신청을 이행하지 않아 지난 3월 실시협약 해지가 통보됐다. 지난 1월 준공을 목표로 했지만 첫 삽도 뜨지 못한 채 사업이 물거품이 된 것이다.

교통공사는 수익 증대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부산대역 복합역사 개발 사업을 2014년부터 본격 추진했다. 교통공사는 2020년 (주)부산대역사개발과 실시협약을 체결해 수익형 민자사업(BTO)으로 사업을 진행했다. 교통공사는 지상 1층에 상가 32곳을 입점시켜 복층에 문화·전시공간을 조성하면 시설사용부담금으로 연간 약 7억 원 수익을 낼 것으로 추정했다.

부산대역은 1985년 건립돼 지어진 지 40년 가까이 된 노후 역사여서 누수 등이 발생해 재정비가 필요한 상황이다. 사업 추진 당시 부산대역 주변에는 유동인구가 많았고 인근 외식·유통업도 지금보다 호황이었다. 부산외대 이전과 대단지 아파트 입주도 예정돼 장밋빛 전망이 나왔다. 복합역사로 개발하기에 사업 가치가 충분한 곳이라는 공감대가 모이면서 사업이 진행됐다.



그러나 코로나19라는 변수를 맞는 바람에 사업은 난관에 봉착했다. 교통공사는 사업이 좌초된 가장 큰 이유로 사업비 증가를 꼽는다. 실시협약 체결 당시에는 공사비로 108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됐는데 코로나19를 거치면서 자재비 인상과 고금리가 겹쳐 공사비가 185억 원으로 늘어났다는 것이다. 최근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마저 얼어붙어 사업시행자가 개발 사업의 핵심인 자금 조달 방식에서 해결책을 찾지 못했다는 것이 교통공사의 설명이다.

복합역사 개발로 인한 수익성 확보가 불투명해지자 민간사업자가 개발을 포기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통상 유동인구가 많은 복합역사는 고객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입점한 상가의 임대료 등 수익 안정성이 보장되는 이점도 있다. 그러나 부산대역이 위치한 금정구는 청년 유출 등 인구 소멸 위기에 직면해 회복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추락하는 대학 상권 쇄신 방안으로 부산대역 복합역사 개발이 기대를 모았지만 반등의 여지는 보이지 않는다. 부산대 인근 백화점이나 유통업에는 젊은 소비층 발길이 계속 끊기고, 그나마 자리를 지키던 상가도 자리를 떠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2분기 부산대 앞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24.5%로 부산 평균 15.2%는 물론 2년 전 같은 기간의 11.4%보다 배 이상 높았다. 같은 기간 소규모 상가 공실률은 16.0%로 부산 평균 5.4%보다 한참 높고 2년 전 같은 기간 8.7%보다 배 가까이 늘었다.

복합역사 개발과 함께 도심 활성화를 기대했지만 이마저도 사라져 침체된 지역 분위기는 장기화할 것으로 보인다. 금정구에는 마땅한 일자리도 없고 지자체의 도심 활성화 정책도 마땅치 않은 것이 현실이다.

교통공사 관계자는 “사업자가 설계도서만 제출했다. 나머지 자금 마련 등에서는 준비가 되지 않았다. 복합적 이유로 사업을 포기한 것으로 보인다”며 “복합역사 개발 사업은 더 이상 추진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노후 시설은 개보수할 예정이다. 공사가 직영으로 상가 입찰도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나웅기 기자 wonggy@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