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자 우려” 경남도의회, 도의료원 부지 매입 부결 ‘급제동’
기획행정위, 진주병원 관련 안건 부결
경남도 계획에도 매년 적자 운영 우려
내년 1월 재도전…사업 차질 지적도
서부경남 공공의료를 담당할 경남도의료원 진주병원 설립이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경남도의회가 제동을 걸었다. 적자 운영에 대한 우려 탓인데, 개원 일정에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28일 경남도의회에 따르면 도의회 기획행정위원회는 지난 23일 경남도가 제출한 2024년도 정기분 경남도 공유재산관리계획안 10건 가운데 ‘경남도의료원 진주병원 부지 매입·신축’건과 ‘경남도수목원 확대 조성을 위한 부지 매입’ 등 2건을 제외한 수정안을 가결했다.
도의회는 2개 안건을 제외하면서 사업 규모와 사업 추진 적정성, 시급성 등에 대한 추가 검토와 논의가 필요하다는 이유를 들었다.
임철규(국민의힘·사천1) 도의원은 “행정 신뢰성, 공공성, 공익성 측면에서 원안대로 가결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기획행정위원 9명 가운데 6명이 수정안에 찬성하면서 통과됐다.
경남도의료원 진주병원은 홍준표 대구시장이 경남도지사 시절, 방만 경영과 적자 누적 등을 문제 삼아 강제 폐업시켰다.
그러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공공의료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재설립이 추진됐고, 2027년 개원을 목표로 관련 절차가 진행 중이다.
지난해 말 기획재정부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를 통과했고, 지난 3월에는 행정안전부 지방재정 중앙투자심사도 문턱도 넘어섰다. 하지만 도의회에서 제동이 걸렸다.
진주병원 부지 매입·신축 건이 지난달 제408회 임시회 때 한 차례 보류된 데 이어 이번달 회기에서도 최종 부결된 것.
도의회 기획행정위는 진주병원 부지 매입 신축 건 부결 이유로 적자 운영 가능성을 들었다.
당초 경남도는 진주병원 운영 시 개원 첫 해 약 78억 원, 5년 후에는 연간 50여 억 원 등 적자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경남도는 진료과·병상 단계별 확대 운영과 특성화·전문화 진료체계 구성에 따른 수익성 확대, 장례식장·편의시설 등 부대시설 운영 등을 적자 해결 방안으로 제시했지만 기획위원들의 공감대를 얻지 못했다.
이시영(국민의힘·김해7) 의원은 “적자로 시작할 것 같은 우려가 있는데, 적자 폭을 줄일 만한 전략과 계획이 뚜렷하게 안 보인다”고 지적했다.
또 최동원(국민의힘·김해3) 의원은 “공공성을 강조하고 공공의 필요에 의해서 하는 것은 좋은데 적자 폭이 너무 크다”고 밝혔다.
일단 도는 내년 1월 임시회 때 진주병원 부지 매입·신축 안건을 다시 제출할 계획이다.
다만 일각에선 공유재산 관리계획안이 계속해서 의회 문턱을 넘지 못하면서 진주병원 설립 계획이 지연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도 관계자는 “내년 초 회기 전까지 도의회에 병원 설립 당위성과 필요성에 대해 추가로 설명해 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경남도는 정부 지역의료 강화대책 부응과 서부경남 의료서비스 확충, 대규모 감염병 대응 등을 위해 경남도의료원 진주병원 신축을 추진하고 있다.
국비 포함 1578억 원이 투입되는 진주병원은 진주시 정촌면 경남 항공국가산업단지 A8 블록 옛 예하초 부지 4만 346㎡에 들어서며 총 병상은 300병상 규모다. 도는 당초 2025년 착공, 2027년 개원을 목표로 삼았다.
김현우 기자 khw82@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