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부산은 좋은 일자리만 있으면 청년이 살 만한 도시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 청년층 ‘주관적 행복감’ 전국 1위
국가균형발전 통해 인구 정착 유도해야


2023 부산 청년 대토론회가 지난달 8일 부산시 주최로 부산 연제구 부산시티호텔에서 열렸다. 정대현 기자 jhyun@ 2023 부산 청년 대토론회가 지난달 8일 부산시 주최로 부산 연제구 부산시티호텔에서 열렸다. 정대현 기자 jhyun@

부산 청년층(20~39세)이 느끼는 ‘주관적 행복감’이 서울을 포함한 7대 대도시 청년들 가운데 가장 높다는 연구 보고서가 4일 발표됐다. 모처럼 부산의 청년과 관련된 긍정적인 연구 결과이다. 국회미래연구원이 7개 대도시 청년 2151명을 대상으로 한 ‘7대 대도시 청년들의 삶의 만족도’ 연구에서 청년들의 행복감은 부산이 7.34점(10점 만점)으로 가장 높았다고 한다. 반면 서울(6.82점), 인천(6.14점) 등 수도권 도시의 경우 청년층 삶의 만족도가 꼴찌 수준이었다. ‘삶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와 ‘생활 수준 만족도’에서도 부산 청년은 1위를 차지했다. 이 밖에도 ‘일에 대한 만족도’ ‘(거주 환경) 안전감’ 등에서도 모두 1위를 기록했다.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겠지만, 부산 청년층의 높은 행복감과 만족도는 최하위권인 수도권과 비교하면 그 원인이 분명하게 보인다. 청년층의 행복감에 부정적 영향이 확인된 ‘통근 시간’의 경우 서울이 평균 71분, 인천은 66분으로 1시간 이상인 데 비해 부산은 44분에 불과했다. 사회적 고립감 분야에서도 수도권 대도시 청년들의 녹록지 않은 삶이 여실히 드러났다고 한다. ‘외로움의 빈도’는 인천이 가장 높았고 서울이 그다음이었다. 부산은 울산에 이어 두 번째로 낮았다. ‘우울 빈도’ 역시 부산은 서울이나 인천에 비해 한참이나 낮았다. ‘아프니깐 청춘’이 아니라 ‘수도권 청춘이 특히 아픈’ 대한민국의 일그러진 현실을 잘 드러내고 있다.

이토록 긴 통근 시간, 외로움과 우울, 낮은 행복감 등 팍팍한 삶에도 불구하고 청년이 수도권으로 몰리는 이유는 교육과 일자리 때문이다. 이는 인천과 서울이 상용근로자의 비중과 월 소득 비중(300만~500만 원)이 비수도권에 비해 높게 나타난 점에서 여실히 증명된다. 뒤집어 생각하면, 정부가 국가균형발전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쳐 청년들이 지역에 정착할 수 있는 여건만 조성하면 청년층의 행복감도 자연스럽게 올라갈 수 있다는 결론이다. 또한, 수도권 집중에 따른 국가적 낭비와 갈등, 지역소멸 위기도 해소할 수 있다.

청년 인구의 수도권 유출은 사회적 불행과 고립감 강화, 저출산, 지역소멸 등 국가 위기로 이어지게 된다. 이번 보고서는 청년들이 태어나서 자란 지역에서 대학에 진학하고 졸업 후 취업 가능한 여건을 만드는 것이 청년의 삶을 향상하는 대책인 점을 명확하게 한다. 동시에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것, 청년들의 미래 불안감을 줄여주는 것이야말로 현재 대한민국이 처한 모든 문제의 해결책이라는 점도 제시한다. 국가소멸까지 거론되는 저출산과 청년 불행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더 이상 국력을 낭비할 이유가 없다. 국가균형발전을 통해 지역에 일자리를 창출하고, 교육 여건을 개선하는 것이 유일한 대책이다. ‘청년이 행복한 부산’을 최우선 정책 목표로 삼고, 정부와 부산시, 기업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할 것이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