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중기 울리는 홍해발 물류대란, 정부 선제 대응해야
홍해발 물류대란에 국내 중소기업이 신음하고 있다.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를 지지하는 예멘 후티 반군이 홍해를 지나는 유조선 등 민간 선박을 무차별 공격하면서 그 여파로 해상 운임이 상승해 기업 피해가 크게 늘고 있기 때문이다. 1일 〈부산일보〉 보도에 따르면, 홍해 물류대란으로 우리나라에서 동유럽까지 배로 45일 정도 걸리던 기간이 60~70일로 늘면서 운임이 20~30% 오른 상황이다. 여기에다 이 물류대란이 언제 끝날지 몰라 기업들이 애만 태울 수밖에 없는 처지다.
홍해는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주요 항로다. 세계 해상 컨테이너 물동량의 30%를 담당한다. 후티 반군이 민간 선박을 위협할수록 해상 운송 차질은 불가피하다. 이에 많은 선박들이 아프리카 희망봉으로 한참 돌아가는 우회로를 택하면서 운송 지연과 운임 상승이 일어나고 있다. 이런 환경에 자금 여력이 적은 중소기업의 피해가 우려된다. 중소기업은 대기업 하청 등을 받아 부품을 수출하는 경우가 많아 운임이나 납부 기간이 조금만 늘어도 큰 피해를 보기 십상이다.
주요 국가들이 홍해에 잇따라 함대를 파견하고 미국 주도 다국적 해군함대가 선박 보호에 나서고 있지만, 후티 반군의 공세는 더 격화하고 있다. 그럴수록 홍해 위기가 장기화할 수 있다는 게 더 큰 문제다. 위기가 장기화하면 기업 수출 피해는 물론 유가상승과 물류비 급등으로 국내 물가에도 악재가 될 게 뻔하다. 더 심각한 것은 해상 운임이 오르면 항공과 육상 운임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가뜩이나 장바구니 물가가 들썩이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 경제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정부는 홍해발 물류 위기를 단기적 악재로 안이하게 봐선 안 된다. 지금이라도 선제적 위기 대응에 나서야 한다. 공급망 불안 파장을 최소화해 물류 위기를 줄이는 게 무엇보다 최선의 대책이다. 특히 장관 교체기의 해수부장관 등은 더욱 세심하게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 홍해 항해의 자유를 확보하려는 미국 주도 국제 사회 노력에도 기여해야 한다. 국제교역 상황을 상시 모니터링하고 글로벌 물류 위기 전담 체계를 가동해 관련 업계와 긴밀히 공조하며 대응할 필요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