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치매노인 실종 증가, 초고령도시 부산 전체의 숙제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1명 해당
국가·공동체, 인력·관심 쏟아부어야

치매환자가 ‘쉼터’ 프로그램에 참여해 만든 작품전시회 ‘순간의 기억, 작은 전시회’가 지난해 12월 부산 사하구 제2청사 3층 치매안심센터에서 열렸다. 강선배 기자 ksun@ 치매환자가 ‘쉼터’ 프로그램에 참여해 만든 작품전시회 ‘순간의 기억, 작은 전시회’가 지난해 12월 부산 사하구 제2청사 3층 치매안심센터에서 열렸다. 강선배 기자 ksun@

치매는 환자는 물론이고 가족에게도 큰 상처이고 고통이다. 노인인구의 10명 중 1명이 앓고 있는 치매는 환자의 고통은 말할 것도 없고 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삶마저 피폐하게 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사회적 질병으로 여겨질 정도다. 남편과 자식들의 이름은 물론이고 자신이 살아온 인생조차 망각하는 치매는 노인들에겐 암보다 무서운 질병이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발생 확률이 높아진다고 한다. 최근에는 기억을 잃은 채 길거리를 배회하다 실종되고, 교통사고나 실족사고 등으로 다치거나 사망에 이르는 사건 사고가 부지기수로 발생하고 있다. 초고령 사회의 어두운 그림자다.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2022년 치매 환자 수는 97만 2436명이며, 65세 이상 고령자 중 10.4%는 치매 질환을 겪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치매는 초고령화와 함께 자연 발생적으로 증가하는 사회적 문제다. 65세 이상 고령 치매 환자는 매년 5만 명씩 증가하고 있고, 그 증가 속도가 점점 빨라져 2050년에는 300만 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초고령화 사회에 이미 돌입한 부산은 노인 치매 환자가 6만 1000여 명에 이르면서 실종 사고가 빗발치는 등 사회적 문제가 곳곳에서 터져 나오고 있다. 부산에서 경찰서에 접수된 치매 환자 실종 신고는 2021년 1186건, 2023년 1289건 등으로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라고 한다. 애타는 가족들의 심정을 생각하면 안타깝기 그지없다.

하지만, 정부는 2017년부터 치매국가책임제를 시행했지만, 치매 환자 실종과 관리 등에 대한 인력과 인프라 지원은 제자리걸음이라고 한다. 실종 치매 환자 수색을 책임지는 부산경찰청 산하 15개 경찰서 실종팀 전체 인원은 82명으로 주야간 교대 근무를 고려하면 경찰서당 1~2명이 사건 3~4건을 맡을 정도라고 한다. 가족이 생업까지 포기하며 실종 환자 찾기에 매달리는 안타까운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부산시가 치매노인에게 보급해 실종자 수색을 쉽게 할 수 있는 배회감지기도 529대에 불과해 전체 치매 환자의 100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턱없이 부족한 인력과 장비 등 현실을 외면한 생색내기 정책으로 비난만 초래하고 있다.

문제는 지금부터다. 부산이 초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고령 치매 환자 증가 속도가 가파르기 때문이다. 정부는 배회감지기 보급 확대 등 실종자를 신속하게 발견할 수 있는 기술적 개선과 더불어 현장에서 활약할 수 있는 인력을 대폭 확충해야 한다. 치매 환자의 실종과 배회를 막기 위한 지역공동체의 관심과 인식 향상도 절실하다. 치매는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는 질병이다. 초고령화 시대에 치매 예방과 치료에서부터 실종자 수색 등 안전망 구축에 국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한다. 정부와 지자체의 노력, 지역 사회의 관심이 모여 치매 실종을 줄이는 결실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