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부산 인구 유출 행진, 답은 좋은 일자리 창출뿐이다
작년 부산 청년 7600여 명 타지로 유출
일자리 해법 없는 한 지역 탈출 못 막아
젊은 층의 수도권 유출이 수년째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는 부산에서 작년에도 무려 7600여 명이 넘은 25~34세의 청년들이 부산을 떠난 것으로 집계됐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23 국내 인구이동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부산에서 수도권으로 순유출된 인구는 1만 1226명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이 중 최대 연령층이 25~34세의 청년들로 전체 순유출 인구 중 절반을 훨씬 넘는다. 대부분 직장이나 일거리를 찾아 서울·경기도 등 수도권으로 떠난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청년의 일자리 부족이 얼마나 심각한 부산의 취약점인지 다시 한번 일깨워 준다. 결국 좋은 일자리 창출을 빼고는 다른 해결책을 얘기할 순 없다.
부산 청년층의 수도권 유출은 우리나라의 최대 구조적인 문제인 수도권 집중화와 직결돼 있다. 반세기 만에 최저 인구이동이라는 작년에도 수도권으로 순유입된 인구는 4만 7000여 명으로 전년보다 오히려 1만 명이나 늘었다. 수도권으로 인구 유입은 이제 구조적인 추세가 됐다. 그 핵심 원인은 수도권에 밀집한 일자리임은 말할 필요가 없다. 지역경제의 핵심 계층인 20, 30대의 인구 이동률이 가장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부산의 경우는 이런 경향이 더 심해지면서 도시 인구가 초고령화의 기형적 구조로 고착하는 와중에 있다. 이처럼 문제는 분명한데 아직 지자체 차원의 뚜렷한 해결책이 없는 게 더 지역을 맥 빠지게 한다.
최근 부산에서 이른바 ‘잘 나간다’고 하는 지역 대학의 반도체학과가 이런 구조적인 문제점을 여실히 보여 준다. 반도체 전공이나 학과를 설치해 운영 중인 부산대, 동아대, 경남정보대 등의 졸업생들이 요즘 삼성전자와 같은 대기업은 물론 중대형 업체에 속속 취업의 기회를 얻으면서 활기를 띄고 있다고 한다. 정부의 반도체산업 집중 육성 기조에 따른 ‘반도체 훈풍’을 맞고 있는 것이다. 오랜만에 듣는 기쁘고 반가운 일이다. 하지만 그 속을 들여다보면 씁쓸함을 감출 수가 없다. 모두 지역에서 키운 인재임에도 일자리 때문에 수도권으로 떠나야 한다. 일자리가 없으니 지역은 계속 수도권의 인력 공급처로 묶여 있다.
지역의 인구 유출을 막는 해법이 젊은 층을 위한 좋은 일자리 창출이라는 점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답은 이처럼 명백히 나와 있는데 실효적인 대책이 보이지 않는다는 게 지역을 답답하게 한다. 결국은 정부가 해결의 물꼬를 틀 수밖에 없다. 늘 반복하는 얘기지만 고용 효과가 큰 산업단지를 더 적극적으로 지역에 조성해야 한다. 수도권의 콩고물을 나눠준다는 식으로 접근해선 효과가 없다. 수도권에 약속한 세계 최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와 같은 단지를 지역에도 조성해야 한다. 물론 가장 절실한 지자체가 더 노력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럼에도 지금은 지방시대를 공언한 정부의 책임 있는 행동이 당장 나와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