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천 갈등 ‘언론 탓’ 하는 친명…단수 공천 현역에 “친명 아니다” 주장도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친명 좌장’ 정성호 “언론이 강하게 프레임 짜 친명 비명 갈등 부각”
‘친명 단수’ 지적에 최인호 박재호 전재수 민홍철 등을 ‘비명계’ 규정

더불어민주당 홍익표 원내대표가 27일 오전 서울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더불어민주당 홍익표 원내대표가 27일 오전 서울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더불어민주당 공천갈등과 관련 친명(친이재명)계가 “언론의 프레임”이라며 반박에 나섰다. 친명 현역의원 단수 공천에 대해선 해당 의원들이 “친명이 아니다”는 주장을 내놨다. 반면 비명계에선 당의 공천 상황을 비판하며 “불신이 너무 많이 쌓였다”고 비판했다. 친명계와 비명계가 공천을 놓고 전혀 다른 인식을 드러내면서 계파 갈등이 더욱 깊어지는 모습이다.

민주당 ‘친명 좌장’ 정성호 의원은 27일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 인터뷰에서 공천 갈등에 대해 “언론에서 강하게 프레임을 짜서 제기되는 측면도 있다”면서 “친명 비명, 또는 친문 친명 갈등구조를 너무 부각시켜놓았다”고 말했다. 공천 갈등은 당연한 일인데 언론이 이를 계파 갈등으로 보도한다는 주장이다.

정 의원은 ‘친명 단수, 비명 경선’이라는 비판에 대해서도 정반대 주장을 폈다. 그는 “비명이면서도 단수로 공천 받거나 친명이면서 경선한 분들이 많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고민정, 최인호, 송기헌, 민홍철, 김정호, 박재호, 전재수, 이소영” 의원을 지적하면서 “공천받자마자 지도부에 비판적”이라고 주장했다. 이들 의원을 ‘비명’으로 규정한 셈이다.

그러나 최인호, 민홍철, 김정호, 박재호, 전재수 의원 등 단수 공천을 받은 영남지역 현역 의원은 ‘단수 신청자’가 대부분이다. 경쟁자가 없었기 때문에 단수 공천을 받은 셈인데 정 의원은 이들을 ‘비명’으로 지목해 ‘비명 단수’의 근거로 제시했다. 정 의원은 그동안 친명 성향을 보였던 진성준, 한정애 의원에 대해서도 “친명이 아니다”고 주장해 ‘찐명’(진짜 친이재명) 논란이 거세질 전망이다.

친명계에선 공천 갈등에 따른 여론 악화에 대해서도 “미시적인 등락”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친명계인 김민석 총선상황실장은 이날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 인터뷰에서 최근 민심에 대해 “공천을 둘러싼 논란 때문에 약간의 등락이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동시에 민주당 공천이 객관적으로 구조화된 시스템 공천으로 갑자기 바뀐 게 아니구나 하는 것들이 설명이 됐다”면서 “큰 구조적 민심은 국민 다수가 윤석열 정권의 무능에 대한 심판을 바라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민주당에 대한 여론 변화에 대해선 “미시적인 등락”이라고 평가했다.

반면 비명계에선 공천 갈등이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비명계 고민정 최고위원은 이날 MBC 라디오 인터뷰에서 “당내에 불신이 너무 많이 쌓였다”며 “공천에서 떨어진 사람들뿐만 아니라 이재명 대표와 문재인 전 대통령을 지지하는 핵심 당원들조차도 걱정을 많이 한다”고 말했다.

고 최고위원은 “(현역의원 평가 결과) 하위 20%에 해당하는 분들이 반발하는데 설득되지 않고 있다”며 “도덕성 등 항목에서 0점을 받았다면 그 근거를 알아야 하지 않나”고 지적했다. 이재명 대표가 성남시장이던 시절 시민 만족도 조사 용역을 수행한 여론조사 업체가 경선 여론조사에 참여해 불공정 논란을 빚은 데 대해서도 “지도부조차 확인이 안 되는 상황”이라고 비판했다.

고 최고위원은 전날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불참한 상황에 대해 “제가 회의에 들어가는 게 의미가 없다고 판단했다”면서 “(공천 등 문제가 생기면) 치열한 토론을 해서라도 결론을 내서 하나하나 풀어가야 하는데 그런 논의들이 계속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고 최고위원은 지난 25일 오후에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김우영 강원도당위원장이 서울 은평을 지역구 경선에 참여하게 한 것은 부적절하다고 주장했으나, 이런 이의 제기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고 최고위원은 결국 다음날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불참했다.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