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달식의 일필일침] 아파트는 죄가 있다

정달식 논설위원 dosol@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논설위원

작년 부산 주택 인허가 중 98% 차지
외국에선 쉽게 찾아볼 수 없는 모습

'획일화된 주거' 부정적 요소 많아
설계 등 기술 역량 축적 통로 엷어져

자연 생태계 유지엔 생물 다양성 필요
차이와 섞임 통해 도시 역동성 살려야

20~30년에 걸쳐 도시 공간을 카메라에 담은 영상을 빠르게 돌려보면 어떤 모습일까? 아마도 단독 주택지였던 공간들이 도미노처럼 빠르게 아파트 단지로 바뀌는 것을 볼 수 있을 터이다. 우리나라의 웬만한 도시들은 하루가 다르게 아파트로 채워지고 있다. 여기엔 부산도 예외는 아니다.

국토교통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주택 인허가 물량 38만여 가구 중 아파트가 88%였다. 부산 지역은 더 심한데, 인허가 물량의 98.4%가 아파트였다. 지난해 부산의 주택 인허가 물량 2만 3129호 중 아파트를 제외한 단독, 다세대, 연립 주택은 겨우 356호에 불과했다. 한 나라 혹은 한 도시에서 새로 지어지는 주택의 90% 이상이 아파트라는 것은 외국에선 쉬 찾아볼 수 없는 모습이다. 도시 계획 전문가들은 “20~30년 후엔 국내에서 사람이 사는 지역엔 아파트만 남게 될 것”이라고 우려한다. 결국 가까운 시일 내 부산의 주택은 아파트 일색이 된다는 얘기다.

혹자는 ‘단순한 데이터를 가지고 왜 이렇게 호들갑이냐’고 할 수도 있다. 하지만 도시가 아파트화된다는 건 우리가 잃는 게 너무 많아서다.

잠시 자연으로 생각을 돌려보자. 자연 생태계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생물 다양성이 필요하다. 생태계의 복원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기 때문이다. 다양한 종들은 서로 다른 생존 전략과 특성이 있기에, 어떤 한 종의 감소나 손실이 나타났을 때 다른 종들이 그 역할을 대신할 수 없다. 만약 한 종이 없어지면 먹이사슬은 붕괴한다. 궁극적으로 생물 다양성은 생태계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꼭 필요하단 얘기다.

도시 역시 마찬가지다. 도시는 하루가 다르게 변화한다. 그래서 도시를 흔히 생물체에 비유해 유기적 복합체라고 말한다. 하나의 주거 건물, 하나의 상업 지구가 아닌 전체가 유기적 관계를 형성해 도시를 생기 있는 공간으로 만든다는 얘기다. 상위 포식자와 하위 포식자, 생산자가 함께 뒤섞여 있어야 자연 생태계가 유지되듯 한 도시가 다양성을 품고 있어야 그것이 섞이면서 역동성이 생기고 새로운 창조가 일어난다. 더불어 거리도 활기 넘치고 경제도 활성화된다. 살맛 나는 도시, 건강한 도시는 바로 이런 것이다. 한데 도시 생태계의 상위 포식자인 아파트가 그 도시를 싹쓸이했다는 건, 그 도시가 건강성을 잃었다는 얘기다.

물론 도시의 아파트화는 콤팩트한 주거 생활, 부동산으로서의 가치 측면에서 다른 주거 형태에 비해 유리하다는 장점도 있다. 그런데도 도시가 아파트로 가득 채워지는 것은 이런 장점을 상쇄하고도 남을 만큼 부정적인 요소가 많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주택 공급이 상대적으로 비싼 아파트로 쏠리면서 서민 주거 불안정이 발생한다. 주거 사다리 역할을 하는 다세대나 연립 주택 공급에 차질을 빚게 돼 서민들은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 저렴한 가격으로 살 수 있는 주택이 줄어든다는 것은 심각한 사회문제가 될 수도 있다. 도시의 대부분이 아파트로 채워져 있다면, 거리를 걸을 때 너무도 따분할 것이다. 이건 엄청난 ‘시민 정서의 마이너스’를 가져온다.

아파트만 빼곡히 들어서는 것은 도시 경쟁력 차원에서도 바람직한 일은 아니다. 무엇보다 지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대단지 아파트의 경우 중소 건설사 20여 개가 할 일을 대형 건설사 1~2개가 다하기 때문이다. 이는 건축 설계 측면에서도 마찬가지다. 이렇다 보니 관련 기술의 역량 축적 통로는 엷어질 수밖에 없다. 일본은 단독 주택 설계가 우리보다 훨씬 활발하다. 왜 우리는 건축계의 노벨상이라 일컫는 프리츠커상 수상자를 아직까지 단 한 명도 배출하지 못하고 있는지 생각해 볼 일이다.

흔히 ‘아파트는 죄가 없다’고 말한다. 아파트가 무슨 죄냐는 것이다. 좁은 면적에 다수의 사람이 주거에 필요한 시설을 공유하면서 누릴 수 있는 아파트를 짓는 건 잘못됐다고 할 수 없다. 하지만 이로 인해 발생하는 부정적 영향을 놓고 볼 때 아파트는 죄가 없다라고 할 순 없다.

도시는 우리의 삶터고, 보금자리다. 그렇기에 우리의 미래다. 획일화되어 가는 도시를 가만히 내버려둘 순 없다. 도시가 아파트로 채워지는 것을 막는 것은 파괴된 생태계를 복원하는 것처럼 도시를 활성화하고, 우리의 삶의 기반을 회복하는 중요한 일이다.

차이와 다양성을 유지하고 그것이 섞일 때 도시의 활기와 역동성, 변화와 창조는 일어난다. 온갖 것이 뒤섞여 생동하고 그로 인해 끊임없이 새로운 활력을 낳는 도시. 그런 도시를 우린 만들어 나가야 한다.


정달식 논설위원 doso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