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윤 대통령 국민 뜻 받들어 국정 쇄신 진정성 보이길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총선 민의, 불통의 국정운영 심판
국정 기조·인적 쇄신 당장 나서야

서울시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들이 11일 오전 서울 종로구 동숭동에서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벽보를 철거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시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들이 11일 오전 서울 종로구 동숭동에서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벽보를 철거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22대 총선이 야권 압승, 여당 참패로 막을 내렸다. 최종 의석은 민주당 175석(더불어민주연합 14석), 국민의힘(국민의미래 18석) 108석, 조국혁신당 12석, 개혁신당 3석, 새로운미래·진보당 각 1석으로 확정됐다. 여당은 개헌과 대통령 탄핵을 면할 수 있는 수준의 표를 얻는 데 그쳤고, 범야권은 사상 최대 규모의 압도적 승리를 가져갔다. 집권 세력에 대한 민심의 매서운 심판인데, 그것이 가리키는 방향은 오만과 독선으로 일관한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있다. 이제 대통령이 분명하게 드러난 국민의 뜻을 겸허히 수용해야 한다. 당정 관계를 회복하고 국정 기조를 전면 쇄신하는 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다.

윤 정부 2년은 대통령 스스로 내세운 ‘공정과 상식’의 길과는 달리 ‘불통 리더십’으로 민의를 외면한 시간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크게는 해병대 채 상병 순직 사건 외압 의혹과 김건희 여사 명품 가방 논란이 정권 심판론의 불을 지폈고, 이종섭 전 주호주대사의 도피성 임명 논란이 국민 신뢰를 무너뜨렸으며, 결정적으로 대통령의 ‘대파 한 단 875원’ 발언이 기름을 부었다. 그에 앞서 여당 대표를 무리하게 몰아내고 당을 장악하거나, ‘이념’을 앞세워 진영 대결을 부추긴 행태도 국민 불신을 키웠다. 잇단 경고에도 불구하고 변화를 거부한 밀어붙이기식 국정운영이 이번 총선에서 호된 비판을 받게 된 건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여당 참패 여파로 한덕수 총리와 대통령실 고위 참모진, 한동훈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이 11일 사의를 표명했다고 한다. 당연한 수순이나, 총선 민심은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윤 대통령이 먼저 권위주의 행태를 반성하고 국정운영 전환과 인사 쇄신 조처에 즉각 나서야 한다. 낮은 자세로 국민 목소리를 경청하고자 하는 진정한 자기성찰이 전제돼야 함은 물론이다. 이런 관점에서 향후 야당과의 협치를 위한 노력에도 적극적이어야 한다. 아직 3년 임기가 남아 있으니 어떤 변화를 보이느냐에 따라 국민들의 평가도 달라질 것이다. 이번에는 ‘옐로카드’지만, 남은 기간 기대에 못 미친다면 ‘레드카드’가 나올지도 모른다.

집권당인 국민의힘 역시 바뀌어야 한다는 데 이견이 있을 수 없다. 개헌 저지선 확보에 만족할 때가 아니다. 수직적 당정 관계를 바로잡고 대통령을 소통의 길로 끌어내는 역할을 해야 하는 것이다. 무서운 민심의 경고는 야당이라고 피해 갈 수 없다. 기대 이상의 의석을 차지한 민주당의 승리는 스스로 잘해서가 아니라 현 정권에 대한 민심 이반의 여파로 보는 게 타당하다. 21대 국회가 ‘싸움판’이 된 데에는 야당 책임도 크다 할 것이다. 치솟는 물가와 경기침체, 소득 불평등의 심화로 인해 삶이 피폐해진 국민이 늘고 있다. 대통령과 여야가 따로 없이 환골탈태하고 초당적으로 협력해 국민 삶을 개선해야 한다. 이게 준엄한 총선 민의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