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과학적 단일안 달라” 의료계 압박

김한수 기자 hangang@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한 총리 “언제든 대화 임할 준비”
전국 거점국립대 속속 증원 확정

한덕수 국무총리가 2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의사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덕수 국무총리가 2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의사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의료계에 의대 증원에 대한 ‘과학적 단일안’을 제출해달라고 재차 요구했다. 정부는 의료계에 결단을 촉구하며 압박하고 나섰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를 주재하고 “2026학년도 이후에는 의료계가 과학적인 단일안을 제시한다면 증원 규모를 유연성 있게 논의할 수 있다고 수차례 밝힌 바 있다”며 “정부는 언제든 어떤 형식이든지 대화에 임할 자세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한 총리는 “의료계의 결단을 기대한다”고 촉구했다. 한 총리가 의료계에 ‘과학적 단일안’ 제출을 다시 촉구하고 나선 것은 의료계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인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지난달 비수도권 국립대 건의를 수용해 의대 증원이 결정된 전국 32개 의대가 2025학년도에 한해 증원 인원의 50~100% 범위에서 자율적으로 신입생 모집 인원을 정할 수 있도록 했다. 2025학년도 의대 정원은 지난해 3058명에서 1509명 늘어난 4567명으로 확정될 전망이다. 의사협회와 대한전공의협의회 등 의사 단체는 여전히 대화에 앞서 정부가 ‘의대 증원 백지화’를 충족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부산대를 포함한 9개 거점 국립대도 속속 2025학년도 의대 정원을 확정하고 있다. 각 대학은 이달 중으로 의대를 포함한 2025학년도 대입 모집 요강을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9개 거점국립대에 따르면 21일까지 의대 증원 관련 학칙 개정 절차를 최종 완료한 대학은 전체 9곳 중 부산대 등 3곳이다. 경상국립대 등 나머지 대학도 연이어 학칙 개정에 나선다. 한편, 국내 최초로 ‘지역의사제’를 도입하겠다고 밝힌 경상국립대는 지난 21일 열린 학무회의에서 지역의사전형을 반영하지 않은 채 2025학년도 모집 단위 변경안을 확정했다. 경상국립대는 의료법 개정이 필요해 당장 내년도 도입이 어렵다고 판단했다.


김한수 기자 hangang@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