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유탄 중상 입은 관광업계도 피눈물

서유리 기자 yool@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부산에서도 예약 취소 등 잇따라
탄핵 가결에도 불확실성에 타격
내년 상반기까지 피해 우려 증폭

비상계엄 선포 다음 날인 지난 4일 경복궁을 지나가는 외국인 관광객들의 모습. 연합뉴스 비상계엄 선포 다음 날인 지난 4일 경복궁을 지나가는 외국인 관광객들의 모습.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가결되면서 부산 지역 관광업계는 향후 여파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관광업계에 타격이 이어졌는데, 이 상황이 수습 국면을 맞이할지 기대가 모아진다.

16일 부산 관광업계에 따르면, 지난 3일 이후 부산 곳곳에서도 예약 취소 상황이 발생했다. 부산의 A 호텔에 따르면, 비상계엄 선포 이후 예약 건수 대비 취소율이 10%포인트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상계엄 선포 이전인 지난달 27일부터 지난 2일까지 예약 건수 대비 취소율은 42.3%였으나, 비상계엄 선포 이후인 지난 4일부터 9일까지의 취소율은 51.5%로 올랐다.

이 호텔 관계자는 “비상계엄 여파 이후로 연일 집회 등이 계속되면서 여행 심리가 축소된 것으로 분석된다”며 “부산은 서울에 비하면 피해 상황이 덜한 편이지만 영향이 없지는 않았다”고 전했다.

단체여행 투숙객의 예약 건이 대다수인 부산 B 호텔에도 예약 취소 상황이 발생했다. 이 호텔 관계자는 “여행사의 경우 보통 가계약을 미리 걸어놓는 경우가 많은데, 비상계엄 사태 이후 대형 여행사에서 이달 중순 이후로 모든 예약을 취소했다”면서 “온라인을 통해 개인 투숙객에게 객실을 오픈하는 등의 대책을 마련 중”이라고 전했다.

탄핵소추안이 가결되면서 정치적 불확실성은 해소됐지만, 탄핵 가결 이후에도 관광업계에 어려움이 지속될 수 있을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부산의 한 여행사 관계자는 “내년 상반기에 확정 지은 예약들에 대해 취소나 연기에 대한 문의가 많아 아침에 메일함을 열기가 두렵다”면서 “탄핵이 가결됐지만 인용까지는 정국이 혼란스러울 수 있는 만큼, 내년 상반기까지 불확실한 상황이 지속될 것이란 우려가 있다”고 전했다.

특히 이번 비상계엄 사태로 관광·마이스업계는 더 큰 좌절감을 경험했다. 코로나19라는 긴 터널을 지나 이제 회복세로 돌아서는 상황에 예상치 못한 악재를 만났기 때문이다. 이 시기가 내년 상반기 계약을 진행하는 시기인 만큼, 정국 혼란이 지속될 경우 내년까지 타격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시는 지난 15일 긴급 확대간부회의를 열고 관광·마이스 분야에 대해서도 점검했다. 시는 연말연시 단체 여행객 감소와 행사 취소 등의 피해 상황에 대비해 부산 소재 관광·마이스업계 정책자금 지원, 비짓부산패스 판촉 등을 지원할 계획을 밝혔다. 시는 오는 19일에도 관광 분야를 비롯해 민생 안정을 점검하는 회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업계에서는 국회에서 탄핵소추안이 가결된 만큼 여행 심리 회복을 위한 적극적인 홍보와 마케팅이 필요한 시기라는 지적도 나온다. 영산대 관광컨벤션학과 오창호 교수는 “민간이 개별적으로 대응하거나 해결해 나가기엔 어려운 문제다. 문광부나 시, 부산관광공사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때”라면서 “관광·마이스 업계가 참여하는 핫라인을 구축해 피해 상황을 공유하고 대응 매뉴얼을 갖춰 적극적으로 대처해갈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서유리 기자 yoo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