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시, 올해 안에 촉석루 국가지정문화유산 승격 신청한다
30일 국가지정문화유산 신청 예정
자료 보완 등 거쳐 국가유산청 전달
보물 부결 사유 뒤집는 근거 드러나
진주성 촉석루 국가지정문화유산 승격 절차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27일 진주시에 따르면 12월 30일께 경남도에 ‘국가지정문화유산 등의 지정 요청 자료보고서(이하 보고서)’를 제출한다. 보고서는 특정 문화유산을 국가유산으로 지정받기 위한 신청서로, 대상은 ‘진주성 촉석루’다.
보고서가 올라가면 경남도는 심의회를 구성해 촉석루 국가지정문화유산 승격 타당성 등을 확인한다. 이후 자료 보완 절차 등을 거쳐 경남도지사 명의로 국가유산청에 정식 신청하게 된다. 촉석루가 국보 지위를 잃은 지 약 70년 만으로, 국가유산청이 지정 여부를 판단하기까지는 2~3년 정도가 걸릴 전망이다.
촉석루는 고려 고종 때인 1241년 창건됐다. 평상시에는 사신 접대처나 과거 시험장으로, 전시에는 진주성의 지휘 본부로 활용됐다. 900년 가까운 역사성과 특유의 아름다움을 인정받으면서 1948년에는 국보 제276호에 지정되기도 했다.
하지만 8년 뒤인 1956년, 6·25 전쟁 당시 폭격으로 누각 전체가 전소되면서 촉석루의 국보 지위는 해제됐다. 1960년 진주 고적보전회가 재건에 성공했고, 당시 재건 사업에 이승만 대통령이 방문하기도 했지만, 국보 자격은 회복되지 않았다.
2014년 지역사회가 힘을 합쳐 국가지정문화유산 승격을 신청했는데, 2016년 국가유산청(당시 문화재청) 건축문화재분과위원회 역시 촉석루 보물 지정을 부결했다. 촉석루를 복원하는 과정에서 지형이 평탄화된 점 등을 들어 원형이 훼손됐다는 지적이 나왔다. 결국 촉석루는 2020년 경남도 유형문화유산에 지정되는 데 그쳤다.
진주시가 다시 촉석루 국가지정문화유산 신청에 나선 건 촉석루 원형이 훼손됐다는 과거 건축문화재분과위원회 지적을 뒤집는 근거들이 속속 확인됐기 때문이다.
진주시는 최근 ‘촉석루 국가지정문화유산 승격 학술 용역 최종 보고회’에서 옛 문헌과 사진을 근거로 국보 지정 전인 일제강점기에 신작로 개설로 이미 지형이 평탄화됐음을 확인했다. 복원 당시 지형의 훼손이 없었음을 확인한 셈이다.
또한, 국가기관의 문서를 근거로 한국전쟁 이후 복원 과정이 국가기관의 허가, 고증 등 국가적 사업으로 추진되었음을 밝혀냈다. 여기에 소실 전인 1937년 작성된 촉석루 실측 도면과 1957년 복원 시 작성된 도면을 새롭게 발굴했으며, 두 도면을 비교·분석한 결과 동일한 도면으로 확인돼 원형 복원됐음을 문헌으로 증명했다.
경남건축문화재연구원 송지환 원장은 “문헌과 자료를 통해 새로 밝혀진 사실에 관해 국가유산청에 그 진위를 설명하고, 학술적·예술적 가치와 승격의 정당성을 공유한다면 촉석루의 국가지정문화유산 지정에 한 발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진주시는 경남도 보고서 제출과 관련해 내년도 예산 2000만 원을 편성했다. 향후 보고서에 대한 보완이 필요할 경우 관련 용역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진주시 관계자는 “경남도 문화유산위원회의 보완 등 향후 필요한 추가 조사·용역에 대비해 2025년 예산을 편성했다. 촉석루가 국가지정문화유산으로 승격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현우 기자 khw82@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