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관리청 지도부 물갈이 트럼프의 ‘뒤끝’ 시작되나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3년 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플로리다 자택을 압수수색한 연방정부 기관에 대대적인 보복이 시작됐다.

워싱턴포스트는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의 윌리엄 보샌코 청장 직무대행과 브렛 베이커 감사관이 자리에서 물러났다”고 16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초 컬린 쇼건 청장을 해임했고, 보샌코 부청장이 청장 직무대행을 맡아왔다. 그러나 보샌코 대행과 베이커 감사관은 트럼프 행정부가 기록관리청 지도부를 ‘충성파’로 교체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밝힘에 따라 자진 사퇴를 결정했다.

기록관리청이 보복 인사 대상이 된 것은 지난 2022년 트럼프의 마러라고 자택 압수수색을 촉발한 백악관 기밀문건 반출 사건 때문이다. 기록관리청은 트럼프 대통령이 임기 후 반출한 문서에 극도로 민감한 1급 기밀까지 포함된 사실이 확인되자 FBI에 보고했다.

이 과정에서 트럼프 대통령 측은 기록관리청에 대통령의 특권을 언급하면서 ‘FBI가 반납한 상자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해달라’는 취지로 요청했지만, 기록관리청은 이를 거부했다.

이에 따라 FBI는 기밀 문건 반출 혐의와 관련한 압수수색을 통해 11건의 기밀문건을 확보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형사 기소됐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자택 압수수색을 자신의 출마를 막으려는 ‘마녀사냥 수사’라고 강력하게 반발했다.

이와 더불어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기간부터 자신을 기소한 잭 스미스 특검에 대한 보복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조 바이든 행정부 시절 자신을 다양한 혐의로 기소한 검사와 압수수색 등 수사에 참여한 FBI 요원 등을 조사하겠다는 것이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인 팸 본디 법무장관은 지난 5일 취임식에서 ‘정치적인 동기로 사법 시스템을 무기화한 공직자’를 조사할 내부 기구 설치를 지시하는 등 보복 준비에 나섰다. 연합뉴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