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때마다 골칫거리 태종대 감지해변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감지해변 주변에 태풍으로 파손된 가건물 등 쓰레기가 쌓여 있다. 강선배 기자

부산 영도구 태종대 감지해변에 설치된 무허가 가건물들이 매년 되풀이되는 태풍으로 파손돼 해변의 경관을 크게 훼손하고 있다. 구청의 단속에도 근절되지 않는 포장마차들의 불법 영업과 함께 이 일대가 36년 동안 '도시계획시설' 부지로 묶여 있기 때문에 매년 같은 피해를 불러올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지난 13일 오후 부산 영도구 동삼동 태종대 입구의 감지해변. 태풍이 할퀸 생채기가 해변 자갈마당 곳곳에 남아 있었다. 해변 입구부터 포장마차의 철골 서너 개가 앙상한 모습을 드러낸 채 늘어서 있는 모습이 눈에 띄었다. 해변 한쪽에서는 이 일대 가건물이 태풍으로 파손되면서 발생한 쓰레기 수거작업과 굴삭기를 동원해 쓸려나간 자갈을 원위치 시키는 작업이 한창이었다. 지난 11일 태풍 '뎬무'가 부산에 상륙할 때 감지해변의 포장마차들은 미리 다른 곳으로 철수했지만 일부 포장마차들은 미처 대피하지 못해 뎬무가 몰고 온 바람과 높은 파도를 정면으로 맞았다. 이 여파로 7개의 포장마차가 파손되면서 철골구조물을 그대로 드러나게 됐다.

시 도시계획시설 부지
36년째 개발 없이 방치
포장마차 불법영업 성행
태풍 땐 쓰레기 넘쳐나


영도구청에 따르면 감지해변 일대에는 30여개의 포장마차들이 수십 년 전부터 불법으로 영업을 하고 있다. 구청은 이들의 무허가 영업을 문제 삼아 주기적으로 단속을 벌이거나 재산을 압류하고 있지만 포장마차를 운영하고 있는 영세상인들의 반발이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생활을 위해서는 영업을 계속 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매년 여름 태풍이 북상할 때마다 포장마차 등의 가건물이 파손돼 해변 일대를 어지럽히는 일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감지해변이 부산시의 도시계획시설 부지로 결정된 이후 36년 동안 방치돼 있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애초 부산시는 지난 1974년 감지해변 일대 8만175㎡를 도시계획시설 종합운동장 부지로 결정, 고시했지만 예산부족으로 흐지부지됐다. 이후 이곳은 도시계획시설 부지라는 이유로 주민들의 재산권이 제한돼 온 것은 물론 방재 조치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최근에는 부산시와 영도구청이 추진했던 '태종대개발계획' 투자 유치마저 실패로 돌아가면서 감지해변의 슬럼화가 가속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감지해변 인근 주민 김 모(45) 씨는 "태풍 때마다 이 일대가 쑥대밭이 되는 바람에 부산의 절경 태종대의 명성이 크게 훼손되고 있다"며 "부산시와 구청은 하루 빨리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대해 영도구청 관계자는 "단속을 많이 했지만 불법 영업을 근절하지 못한 것이 현실"이라면서도 "태종대개발사업이 본격적으로 시행된다면 이 문제도 곧 해결될 것"이라고 밝혔다. 황석하 기자 hsh03@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