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펫플스토리] 반려견 짖음 ‘방지기’가 답일까?

이상윤 기자 nurumi@busan.com , 김수빈 부산닷컴 기자 suvely@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포털사이트에 ‘개 짖음 방지기’를 검색하면 나오는 제품들. 많은 후기가 달릴 정도로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포털 캡처 포털사이트에 ‘개 짖음 방지기’를 검색하면 나오는 제품들. 많은 후기가 달릴 정도로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포털 캡처

반려동물 가구가 증가하면서 보호자들에게 올바른 펫티켓(펫+에티켓)이 요구된다. 특히 최근에는 ‘층견(犬)소음’이라는 신조어가 등장할 정도로 개 짖음 소리로 인한 이웃간의 갈등까지 생겨 펫티켓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된다. 보호자들은 임시방편으로 ‘개 짖음 방지 목걸이’를 채우지만, 이를 두고 학대 논란도 일고 있다.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개 짖음 소음, 지혜로운 해결 방법은 없을까?


전기 자극 형태, 화상 위험·학대 논란

기계 쓰면 악순환, 근본 해결책 안 돼


■개 짖음 방지 목걸이란?

반려견이 짖는 소리는 90~100dB에 이른다. 지하철 내부 소음(80dB)보다 크고, 기차 소음(105㏈)과 비슷한 수준이다.

강아지 짖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제품이 바로 ‘개 짖음 방지 목걸이’ 같은 짖음 방지기다. 짖음 방지기는 전기 자극, 레몬향 방출, 초음파, 진동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이 가운데 전기 자극 형태는 목줄에 자극 단자가 달려 있어, 성대의 울림 등을 감지해 전기 자극을 준다. 그러나 오랜 시간 차고 있으면 반려견이 화상을 입거나 다칠 수 있다는 지적이 이어지면서 학대 논란이 일고 있다.

이 같은 방지기가 개의 짖음을 막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을까? 레스트펫 아카데미 최용 원장은 “채워 놓으면 안 짖을 수 있지만, 반려견들도 눈치가 생겨 방지기를 빼면 다시 짖을 수 있어 근본적인 해결책은 될 수 없다”고 말했다.


■짖음 원인과 해결 방법은?

반려견이 짖는 원인은 트라우마, 불만, 분리 불안, 낯선 자극, 미세한 소음, 만성 스트레스 등 다양하다. 그 중 주된 원인은 분리 불안이다. 분리 불안은 보호자가 집을 비우는 동안 반려견이 불안감을 느끼면서 짖거나 배변 실수를 하는 등의 문제행동을 보이는 증상이다.

반려견이 분리 불안을 느낄 때 가장 많이 하는 행동 중 하나가 짖음이다. 1~2년 정도 지속되다 보면 습관성 짖음 문제로 발전하고, 심해지면 사람을 물기도 한다.

최 원장은 반려견 짖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훈련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반려견은 태어난 지 3개월부터 교육이 가능한 데 우선 “안 돼”를 가르치는 게 가장 중요하다. 브레이크 없는 자동차가 사고가 나듯, “안 돼”를 모르는 강아지는 문제견이 된다. 반려견이 문제 행동을 한다면 “안 돼”하면서 목줄을 당기거나 싫어하는 물건을 주는 등 나쁜 기억을 심어주는 훈련을 해야 한다.

그러나 심하게 짖거나 나이가 좀 있는 반려견은 이 훈련 과정에서 사람에 대한 경계심이 생길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최 원장은 “보호자가 편한 것만 찾아 기계를 쓰니 악순환이 반복된다”며 “학원, 아카데미, 훈련소를 찾아 교육을 받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이상윤 선임기자·김수빈 부산닷컴 기자


이상윤 기자 nurumi@busan.com , 김수빈 부산닷컴 기자 suvely@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