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행 30~40대 여성, 해외는 20대 남성 주도
코로나 이후 소비자 계층 변화
나홀로 줄고 연인 동반은 늘어
코로나19 이후 여행의 핵심 소비자 계층에 큰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국내 여행의 주요 소비층이 3040 남성에서 3040 여성 중심으로, 해외여행의 주요 소비층이 2030여성에서 20대 남성 중심으로 옮겨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여행 조사 전문기관 컨슈머 인사이트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3-24 국내·해외 여행 소비자 행태의 변화와 전망’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컨슈머인사이트가 자체 개발한 ‘TCI(여행코로나지수)’를 활용해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30·40대 여성의 국내여행 경험 TCI는 각각 106, 105로 코로나 전보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30·40대 남성(TCI 97, 103)보다 높게 나타났다.
해외여행의 경우 과거 2030대 여성 중심의 시장에서 20대 남성으로 중심축이 완전히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2030대 여성의 해외경험률 평균 TCI는 62인 반면, 20대 남성의 TCI는 77로 가장 높았다. 해외여행 의향률도 TCI 81로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가장 빠르게 회복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홀로 여행은 줄고 연인 동반 여행이 늘어나는 것도 특징이다. 코로나19로 단체여행이 어려워지면서 나홀로 여행이 2021년 TCI 275를 기록하는 등 급격히 증가했으나, 지난해에는 TCI 83으로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연인 동반 여행은 TCI 140으로 늘어났다. 불경기와 물가 상승으로 인해 국내·해외 여행 모두에서 비용 절감이 화두로 떠올랐다. 접근성에 대한 요구도 커지면서 국내는 수도권 위주, 해외는 일본과 동남아 위주의 ‘근거리 여행’ 선호현상이 나타났다.
또 해외 여행이 회복세를 보이면서, 국내 여행의 위축이 발생할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서유리 기자 yool@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