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서구·기장군, 결핍 수준 개선… 원도심은 쇠퇴 뚜렷[부산 ‘박탈지수’ 분석]

서유리 기자 yool@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신규 아파트 증가·젊은 층 유입
강서구, 노인인구 비율 감소세
인구 유출 심한 중·동·서·영도구
고령화 속도 빨라져 지수 악화
지역 간 건강 격차 야기 가능성도
“이대로 두면 지역 소멸 가속” 지적

부산 대부분의 기초지자체에서 사회·경제적 결핍 수준을 보여 주는 ‘박탈지수’가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부산 중구 산복도로 일대. 부산일보DB 부산 대부분의 기초지자체에서 사회·경제적 결핍 수준을 보여 주는 ‘박탈지수’가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부산 중구 산복도로 일대. 부산일보DB

지역의 사회·경제적 결핍 수준을 진단하는 ‘박탈지수’는 부산의 시대 흐름과 환경 변화를 반영한다. 부산시공공보건의료지원단이 5년마다 박탈지수를 산출해 분석한 결과, 2005년부터 부산 대부분 지자체의 지수는 전체적으로 소폭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왔다. 박탈지수는 높을수록 부정적인 것을 뜻하는 만큼 사회적·경제적으로 결핍이 더욱 심화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외적으로 강서구와 기장군은 감소하는 추세다. 신도시 조성으로 신규 아파트가 늘고 신혼부부 등 젊은 층이 유입된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인구 유출과 고령화가 심한 중·동·서·영도구는 2005년부터 전국 대비 박탈지수가 높은 구에 빠짐없이 이름을 올리는 등 원도심 쇠퇴 현상을 여실히 드러낸다.

부산시공공보건의료지원단은 10가지 구성지표를 분석해 박탈지수를 산출한다. △가구주 기준 낮은 사회계층 비율 △주택 소유 가구율 △열악한 주거환경 비율 △고졸 미만 교육수준 비율 △가구 자동차 미소유율 △이혼·사별 비율 △독거가구 비율 △여성 가구주 비율 △노인 인구 비율 △아파트 가구 비율이다.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토대로 분석 프로그램을 동원해 구성지표를 산출하며, 지역별 표준화 점수를 합산해 전국 구·군별 박탈지수를 산출한다.


2005년 대비 2020년의 박탈지수 추이를 보면 시대 흐름에 따른 사회 변화도 읽을 수 있다. 열악한 주거환경 비율, 고졸 미만 교육수준 비율, 가구 자동차 미소유율은 모든 구·군에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특히 가구 자동차 미소유율은 강서구와 기장군의 감소 폭이 크게 나타났다.

반면, 이혼·사별 비율과 독거가구 비율, 여성가구주 비율은 모든 구·군에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노인인구 비율도 대부분 증가 추세를 보였으나 강서구는 감소 추세, 기장군은 유지 추세를 보였다. 아파트 가구 비율은 모든 구·군에서 증가 추세를 보였으나, 중·서·동구와 같은 원도심 지역의 아파트 가구 비율은 2005년과 2020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강서구와 기장군은 다른 구·군에 비해 아파트 가구 비율에서 큰 폭의 증가를 보였다.

요약하면, 박탈지수 전체 값은 소폭 증가 추세를 보이지만 예외적으로 강서구와 기장군은 감소 추세를 보였다. 이는 아파트 입주가 늘어나고 신혼부부 가정이 유입된 현상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박탈지수가 높은 중·서·동·영도구 지역은 고졸 미만 교육수준 비율, 노인인구 비율, 독거가구 비율, 아파트 가구 비율, 여성가구주 비율, 이혼·사별 비율, 가구 자동차 미소유율 등의 영향으로 인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부산지역 한 복지 전문가는 “박탈지수는 고령화 속도와 맞물리는 경향이 있다. 부산에서는 고령화 속도가 빠르다 보니 더 악화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총체적인 접근이 없다면 수년 내에 박탈지수는 더 나빠지고, 지역 소멸로 이어질 수도 있다. 구별로 사회·경제적인 결핍을 해소하고 격차를 줄여 나가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탈지수는 지역 간 건강 격차를 야기할 수도 있다. 사회적·경제적 수준과도 연관이 있다 보니 박탈지수가 높은 지역에서는 주민이 건강을 챙길 시간적·경제적 여유가 없는 상황이 빈번하게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김창훈 부산대병원 공공의료사업실장은 “박탈지수가 높게 나타난 곳을 그냥 두면 병원이나 운동시설 등과 같은 유익한 자원을 누릴 수 있는 여력이 부족하다 보니 더 열악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부산시공공보건의료지원단 관계자는 “지역의 현황을 보다 면밀히 진단하기 위해서는 관련 조사항목을 추가하거나 지역단위로 연계할 수 있는 다양한 사회·경제적 자료를 함께 들여다볼 필요도 있다”고 밝혔다.


서유리 기자 yoo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