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가덕신공항 건설 사업, 지역업체 참여 길 터야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메이저 건설업계 잔치판 전락 위기
지역 경제 선순환 위해 노력해야

부산 가덕신공항 조감도 부산 가덕신공항 조감도

2029년 완공하는 가덕신공항 건설 기본계획을 국토교통부가 발표함에 따라 건설 컨소시엄 구성 등 본격적인 사업 시행 절차에 돌입했다. 3500m 길이의 활주로와 연간 1700만 명을 수용할 수 있는 여객터미널을 갖추는 가덕신공항은 부지 조성 7조 원, 터미널 2조 원, 주변 철도·도로 1조 5000억 원 등 13조 7000억 원이 투입되는 지역에서는 단군 이래 최대 규모의 건설 사업이다. 부산에서 벌어지는 공사 과정에서 지역 건설업계에 대규모 수주 기회를 제공해 침체된 지역 경기의 회복도 기대된다. 하지만, 공항 건설 컨소시엄 과정에서 수천억 원에 이르는 지분 투자 등으로 지역업체의 참여가 쉽지 않아, 서울 대형 건설사들만의 잔치판으로 전락할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고 한다.

〈부산일보〉 보도에 따르면 국토부는 토사 절취와 매립 등 가덕도신공항 부지 조성 공사를 1개 단일 공구로 발주할 예정이라고 한다. 정부는 1공구, 2공구 등으로 나눠서 발주하면 공구 간 연결 부위가 일치하지 않아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공기 지연마저 우려된다고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2029년 조기 개항을 위해서는 충분히 납득할 수 있다. 하지만, 7조 원에 이르는 부지 조성 공사에 5% 이상(사업비 최소 3500억 원) 지분을 참가한 최대 10개 업체만 컨소시엄을 꾸려 공동 도급하게 되면, 국내 시공능력평가 최상위 메이저 건설사만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지역 건설업체의 경우 이 기준을 맞출 수 있는 곳이 거의 없다는 점이다.

국토부와 부산시도 이런 문제점을 인식해 ‘참여 지분 5% 이상’ 공동 수급 조건 변경을 위해 기획재정부 및 조달청과 협의 중이라고 하지만, 부산에서 벌어지는 초대형 공사에서 지역업체가 서울 건설사의 하도급 업체로 전락할 가능성은 점점 커지고 있다. 이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공사·용역 등에서 가덕신공항 건설 예정 지역의 지역 기업을 우대한다’는 가덕신공항 특별법 취지에도 부합하지 않는 상황이다. 또한, 지역건설업체가 세계적인 설계업체에서부터 시공사 등이 망라된 사상 초유의 가덕신공항 건설 사업에 제대로 된 건설 노하우를 쌓을 기회에서 원천적으로 배제되게 된다.

국토부와 부산시는 13조 원이 투입될 지역의 대역사인 가덕신공항 건설에 지역업체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부산시도 지역 자본과 지역업체가 가덕신공항 건설이란 대역사에 주역으로 활약할 수 있도록 공동 도급 및 컨소시엄 규정 개정을 강력하게 요구해야 한다. 물론, 지역 건설업체도 지자체의 행정적 지원과 지역의 여론에만 기대지 말고, 급변하는 건설업계 상황에 맞춰 메이저 업체와 견줄 수 있도록 기술 격차 해소 등 자체 혁신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가덕신공항이 착공에서부터 지역 경제 회생을 위한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도록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