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 고1~고3 겨울방학 활용법 [입시 톡톡]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장여진 구덕고 교사

겨울방학은 신학기가 시작되기 전까지 주어진 시간을 활용해 지난 학습을 점검하고 다음 학년을 준비하기에 중요한 시기이다. 학년별로 적절한 전략을 세우고 실천한다면 보다 효과적으로 목표를 이룰 수 있다.

예비 고1 학생들은 고등학교 입학을 준비하며 주요 과목인 수학과 영어의 원리와 개념을 철저히 이해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 특히 수학은 중학교 과정의 기초가 탄탄하지 않으면 고등학교에서 성적을 유지하기 어려우므로 중학교 과정의 개념을 이해하고 복습해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야 한다. 또 대학 입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주요 전형의 특징을 파악하고, 학교생활기록부 관리와 비교과 활동의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좋다. 아직 진로를 정하지 못한 학생이라면 겨울방학 동안 다양한 진로 탐색 활동을 통해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파악하고, 학업 및 비교과 활동 계획을 구상해 미래 진로를 모색하는 기회를 가져야 한다.

예비 고2 학생들은 선행학습보다는 1학년 과정을 복습하며 국어, 수학, 영어 등 주요 과목의 기본기를 확실히 다지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 특히, 영어는 절대평가 체제이므로 어휘, 어법, 독해, 구문 등 영역별 학습을 통해 안정적인 등급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1학년 생활기록부를 검토해 자신이 흥미를 느꼈던 활동과 강점을 분석하고, 관심 분야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학습계획을 세워야 한다. 자신의 진로를 정한 학생은 전공연계 관련 교과학습 및 활동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다. 진로를 확정하지 못한 학생이라면 적성과 흥미 분야를 탐색하며 한국고용정보원 ‘워크넷’이나 대입정보포털 ‘어디가’ 등을 활용해 다양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진로 목표를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비 고3 학생들은 본격적으로 수능 대비 학습을 시작해야 한다. 겨울방학 동안 수능 범위 내 개념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학습해야 한다. 특히 이 기간 탐구영역을 소홀함 없이 잘 준비해야 효율적인 수능대비 학습을 할 수 있다. 자신의 경쟁력을 객관적으로 분석해 교과, 비교과, 논술, 수능 중 어떤 전형 요소에 강점이 있는지 파악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논술전형을 고려하는 학생이라면 겨울방학부터 대비를 시작해 시간적 여유를 두고 준비하고, 수능과 논술, 내신, 비교과 활동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