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지지율보다 높은 야권 후보 지지율… 부산 중도층, 정권 심판론 솔깃 [여론조사로 본 민심]
민주 지지율 30% 중반인 반면
후보 지지율 대부분 40% 중반
연제, ‘당보다 후보’ 극적 부각
4·10총선에서 부산 지역 격전지의 판세를 가를 ‘중도층’이 ‘정권 심판론’으로 기울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 지역 중도 성향 유권자의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평가는 ‘잘 못한다’가 과반을 차지했다. 정권심판론이 거세지면서 국민의힘은 부산 지역 정당 지지율에서 크게 앞서면서도 여야 후보 가상대결에서는 더불어민주당과 접전을 펼치는 구도가 형성됐다.
〈부산일보〉와 부산MBC가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실시한 9개 선거구 여론조사에서 정당 지지율은 국민의힘이 강세였다. 국민의힘은 9개 지역에서 35~58%의 지지를 얻었다. 40%대 중반이 가장 많았다. 반면 민주당은 27~36%의 지지를 얻었고 30%대 초반이 많았다. 정당 지지율에서 10%포인트(P) 이상 차이가 났지만 여야 후보 가상대결 결과는 접전이거나 오히려 민주당 후보가 우세를 보이는 경우가 있었다.
정당 지지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국민의힘이 후보 가상대결에서 접전을 펼친 이유는 정권 심판론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중도층’이 정권 심판론으로 기울면서 이런 판세를 만든 것으로 풀이된다.
9개 지역 여론조사에서 양당 지지율은 중도층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국민의힘과 민주당 모두 중도층에서 30% 중반대 지지율로 호각세를 이뤘다. 그러나 중도층은 윤 대통령에 대한 평가에서 ‘부정’이 크게 앞섰다. 9개 지역 가운데 서동과 사하을이 50% 중반의 윤 대통령 ‘부정 평가’를 기록했다. 나머지 7개 지역에선 부정 평가 비율이 60%를 넘겼다.
중도층은 이번 총선의 성격에 대해서도 정권 심판(윤석열 정부의 독주를 견제하기 위해 야당 후보에 힘 실어줘야 함)이라고 규정했다. 정권 심판론 응답은 서동과 사하을에만 40% 후반을 기록했고 나머지 지역에선 모두 50%를 넘겼다.
중도층이 민주당을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정권 심판론 때문에 야당 후보를 지지한다는 사실은 비례대표 정당 투표 의향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조국혁신당이라는 ‘대안’이 제시됐을 때 중도층은 민주당이 아닌 대안을 선택했다. 9개 지역 모두에서 중도층의 비례대표 정당 지지율은 민주당보다 조국혁신당이 높았다. 일부 선거구에선 조국혁신당 지지율이 민주당의 3배에 육박했다.
연제에서 진보당 노정현 후보의 높은 지지율도 정권 심판론이 크게 작용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연제의 경우 진보당(기타 정당) 지지율은 11.2%에 그쳤다. 그러나 가상대결에서 노 후보에 대한 지지는 47.6%에 달했다. 연제에서도 중도층의 53.6%가 노 후보를 지지했다. 연제 지역 중도층은 윤 대통령에 대한 부정 평가 비율도 66.8%에 달했다.
이런 중도층의 심판론 쏠림 현상은 여당과 윤 대통령의 대응에 따라 약화될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 지난주 부산에선 ‘수영 정연욱 공천’ 파장에 이어 이번 여론조사가 이뤄진 기간에는 ‘이종섭·황상무 논란’ 등 여권의 악재가 겹쳤다. 여론조사 직후인 지난 20일 여권이 사태 수습에 나서면서 중도층의 표심 변화 가능성이 제기된다.
어떻게 조사했나
본 여론조사는 〈부산일보〉와 부산MBC의 공동 의뢰로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에서 지난 18~19일 △사하을(응답률 8.3%·응답 503명) △연제(8.4%·503명) △북갑(9.7%·504명) △북을(8.0%·500명) △서동(7.6%·509명) △남(7.6%·509명) △사하갑(8.3%·506명) △사상( 7.6%·501명) △강서(7.0%·503명)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했다.
조사에 사용된 피조사자 선정 방법은 통신사에서 제공받은 휴대전화(무선 100%) 가상번호를 활용해 무선 자동응답(ARS) 조사로 진행했다. 가중값 산출과 적용 방법은 올해 2월 말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통계를 기준으로 셀가중을 부여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4.4%(서동·남 95% 신뢰수준에 ±4.3%)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