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녹조… 보 개방 대신 ‘퇴비관리’ 중점 대책 발표

서유리 기자 yool@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환경부, 1일 녹조 예방 낙동강 유역 야적퇴비 수거 대책 발표
환경단체, 녹조 종합대책 ‘보 개방’ 등 근본적 해결책 외면 지적

낙동강 하류의 녹조 경보가 가을이 되어도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0월 중하순 물금·매리취수장 인근에서 3차례 연속 1만~2만 중반의 남조류가 검출됐다. 3일 경남 김해 대동선착장 인근의 낙동강 모습. 부산일보DB 낙동강 하류의 녹조 경보가 가을이 되어도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0월 중하순 물금·매리취수장 인근에서 3차례 연속 1만~2만 중반의 남조류가 검출됐다. 3일 경남 김해 대동선착장 인근의 낙동강 모습. 부산일보DB

환경부가 낙동강 녹조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녹조 종합대책’을 마련했다. 하지만 대책이 ‘퇴비 관리’ 등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는 비판이 나온다.

1일 환경부는 녹조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이달부터 낙동강 유역을 중심으로 하천변의 야적퇴비를 대거 수거한다고 밝혔다. 환경부에 따르면 낙동강 하천변의 야적퇴비는 총 1579개로, 이중 약 40%에 달하는 625개가 부적절하게 보관 중이다. 환경부는 중장기적으로 가축분뇨 처리 방법을 다양화하 하는 등 오염원 배출을 줄인다는 방침도 밝혔다.

녹조가 발생한 이후의 대응책도 제시했다. 2024년까지 낙동강 유역에 녹조를 제거하는 선박과 ‘에코로봇’을 대폭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또 먹는물 안전 확보를 위해 취수탑을 개선하고 먹는물 감시 기준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중장기적으로는 전문적으로 녹조 관리를 담당하는 ‘국가녹조대응센터’ 건립 계획도 밝혔다.

다만 보 수문 개방에 대해서는 “탄력적으로 조정하겠다”는 원론적인 입장만 밝혔다. 녹조 상황에서도 댐과 하천의 수량, 하굿둑의 상황을 고려해 판단하겠다는 것이다. 환경부 박정준 통합하천관리T/F 과장은 “(보 개방) 기준은 고려할 요소가 다양하다. 여유수량을 고려하지 않고 방류할 경우 댐 가뭄이 발생한다. 기상 상황과 주 1회 녹조 모니터링에 따라 가장 적절한 최적의 조합도를 찾아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환경단체는 이날 논평을 내고 환경부의 녹조 종합대책이 본질적인 해결책을 외면했다고 지적했다. 낙동강네트워크는 “2019년 환경부는 ‘오염원 관리만으로는 수질 문제 해결에 한계가 있다’고 밝힌 바 있는데, 이번 대책은 환경부 스스로 밝힌 한계를 되풀이 하는 꼴”이라면서 “환경부가 녹조 대책에 있어 가장 우선할 것은 화려한 ‘뻘짓’이 아니라 보 수문 개방과 자연성 회복이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환경부는 올해 녹조 상황이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보다 심각할 수 있을 것이라 전망했다. 올해 녹조는 봄 가뭄과 무더위의 영향으로 낙동강 유역을 중심으로 5월 말부터 발생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부산의 주요 취수원인 매리·물금 지점에 196일간 조류 경보가 내려지기도 했다.


서유리 기자 yoo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