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중국 닝보 카페리 항로 열면 '직구' 하루 만에 배송" [제17회 세계해양포럼]

박혜랑 기자 rang@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해양도시 네트워크 세션

동북아 해상특송 구축 필요성 제기
“부산 항로 없어 육로로 인천항 이송
직구 운송 최대 5일 이상 소요돼”
부산으로 곧장 오면 하루로 충분
정부 승인·세관 문제 등이 관건
양 도시 창고 공동 운영안도 논의

25일 롯데호텔부산에서 열린 제17회 세계해양포럼(WOF)의 해양도시네트워크 세션에서 부산-닝보 간 카페리 항로 개설이 필요하다는 내용이 다뤄졌다. WOF사무국 제공 25일 롯데호텔부산에서 열린 제17회 세계해양포럼(WOF)의 해양도시네트워크 세션에서 부산-닝보 간 카페리 항로 개설이 필요하다는 내용이 다뤄졌다. WOF사무국 제공

동북아 물류거점도시 간 글로벌 전자상거래 해상특송 물류채널을 구축하기 위해 부산-중국 닝보 간 카페리 항로 개설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5일 롯데호텔부산에서 열린 제17회 세계해양포럼(WOF)의 해양도시 네트워크 세션에서 이 같은 내용이 논의됐다. 세션에서는 ‘동북아 국경 간 전자상거래 물류도시 간 네트워킹’을 주제로 한 발제와 토론이 이어졌다.

국경 간 전자상거래란 해외에서 온라인을 통해 직접 물건을 구입하는 것으로, ‘직구’로 불린다. 한국과 중국의 대표적 항구가 있는 부산과 닝보 간 카페리 항로가 개설된다면, 물류 비용을 절감하고 동시에 항공과 달리 무거운 물건도 운송이 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를 위해선 공감대 형성뿐 아니라, 통관 등 각종 절차가 간소화될 필요가 있다는 구체적인 실현 방안도 제시됐다.

■“카페리 항로 하루 만에 배송 가능”

중국 닝보는 닝보항의 수출입 총액이 도시 전체 총생산의 80%에 해당할 만큼, 부산과 마찬가지로 항구로 먹고사는 도시다. 닝보는 이미 5년간 보세 지역 수출 물량 전국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국가 간 전자상거래 수출입액은 연간 30%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현재는 부산과 통하는 항로가 없어 닝보에서 육로로 물건을 이송해 인천항으로 가는 경로로 수출입이 이뤄진다. 이 경우 운송 기간은 최대 5일 넘게 걸리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파악하고 있다.

중국 닝보항에는 이미 국가 간 전자상거래를 위한 자체 플랫폼과 인프라가 구축된 상태다. 화물을 모으고 재분류하는 창고도 운영 중이며, 닝보항과 연계된 노선도 80개가 넘는다. 철도와 항만 등 복합물류체인 시스템이라는 강점도 지니고 있다. 만약 닝보와 부산의 물류 시스템이 구축된다면, 부산의 물류 시스템과 연계해 한-중뿐 아니라 아시아태평양 물류 전체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화장품이나 식품 등 닝보를 통해 중국으로 수입되는 한국 제품 물량도 만만찮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구매액 기준으로 중국(27.9%)은 미국(37.7%) 다음으로 한국과 전자상거래를 많이 하는 나라다. 또한 역직구(65.6%)는 중국과 가장 많이 하고 있다.

중국닝보시발전개혁위원회 해양경제발전처 왕샤오징 부처장은 “지난해 닝보가 한국으로부터 받은 주문은 약 1181만 건에 달한다”며 “금액으로는 약 22억 위안가량으로, 수입 총액의 8.63%를 차지할 만큼 이미 한국과 전자상거래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팬스타라인닷컴 곽인섭 대표이사도 “닝보에서 인천을 통해서 통관하면 최소 3~5일이 걸린다”며 “닝보에서 부산으로 바로 들어온다면 하루 만에도 가능하다. 항공과 달리 배로는 무거운 물품도 이송이 가능하고 통관 시간도 적게 걸린다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창고시설 건설, 무역정보 원스톱 필요

카페리 노선 항로 개설을 위해서는 정부의 승인이 필요한 상황이다. 게다가 CIQ(세관·출입국관리·검역) 문제도 해결돼야 한다. 곽 이사는 “카페리 항로는 컨테이너 항로와 달리 국가의 허가가 필요하다”라며 “또한 세관 업무 등 정부 지원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양 도시가 창고를 함께 건설해 공동 운영하는 방안도 제기됐다. 왕샤오징 부처장은 “국가 간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구축하는 게 결국 핵심이다. 창고시설을 함께 건설하거나 공유하고, 중소기업 등이 수출입 무역 정보를 알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양국의 수요에 대한 연구, 항로 개설에 따른 경제성 평가에 대한 작업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왕샤오징 부처장은 “이제 양국이 새로운 업무를 창출해 나가야 하고, 새로운 사업모델을 함께 연구해야 한다”라며 “고객의 요구를 좀 더 다양하게 하는 방법이나 통관의 신속화 등 다양한 부분에 대한 혁신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혜랑 기자 rang@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