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뺑뺑이’에 1339 부활론 기지개

서유리 기자 yool@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의료 인력 부족·응급실 과밀 심각
119만으로 병원 전원 등 역부족
병원 선정 등 응급정보센터 절실
11년 전 폐지된 1339 부활 여론
지역 응급 상황 컨트롤타워 기대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 제공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 제공

올해에만 전국적으로 두 차례 발생한 이른바 ‘응급실 뺑뺑이’ 사망 사고는 부산에서도 언제든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특히 지역 응급 컨트롤타워가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하는 상황인 만큼 과거 병원 선정과 전원 역할을 도맡으며 컨트롤타워 역할을 했던 ‘1339(응급의료정보센터)’의 기능을 되살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6일 〈부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지역 의료계는 ‘응급실 뺑뺑이’가 지역 응급의료의 컨트롤타워 부재에서 비롯된다고 입을 모은다. 응급환자가 길거리나 응급실에 머무르다 사망하는 주된 이유는 결국 치료할 병원을 찾지 못하는 것인데, 컨트롤타워가 없다 보니 119구급대와 응급실 의사는 병원 찾기에 발을 구르는 실정이다.

현재는 응급환자가 발생해 구급차가 출동하면 구급대원이 전화를 돌려 이송할 병원을 찾는다. 구급대원 선에서 해결되지 않을 경우, 119구급상황관리센터가 함께 병원을 찾는다. 구급대가 각 병원 응급실의 병상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병상 정보 상황판’ 앱이 있지만, 실시간 정보 업데이트가 되지 않는 경우가 대다수다.

환자를 받아줄 병원을 찾는 것은 119뿐만이 아니다. 응급실에서 처치한 환자를 해당 병원에서 수술할 수 없다면 빠른 시간 안에 수술이 가능한 병원으로 보내야 한다. 병원 응급실도 환자를 받아줄 병원을 찾느라 수십 통 전화를 돌려야 하는 실정이다. 하지만 다른 병원 역시 응급실·중환자실이 과밀인 데다 응급수술을 할 수 있는 필수분야 의사가 부족해 환자를 받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부산의 한 응급의학과 교수는 “응급실이 비었다고 해서 응급환자를 무턱대고 받을 수 없다. 전원은 나중에 생각하고 환자부터 받는 것은 환자의 목숨으로 모험을 하는 것”이라면서 “결국 받아줄 병원을 못 찾아서 몇 시간씩 치료가 지연될 경우 환자는 심각한 장애를 갖게 되거나, 심할 경우 사망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의료 현장에서는 과거 응급환자 분류와 전원 등의 역할을 맡았던 ‘1339’의 부활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필수의료 인력을 늘리고 중환자 병상을 확보하는 문제는 수가 등이 얽힌 복잡한 문제이니 만큼 비교적 빨리 추진할 수 있는 기능부터 부활하자는 것이다.

1991년 전국 12곳에 설립됐던 ‘1339’는 정부의 응급 의료 체계 일원화 정책에 따라 2012년 119에 흡수 통합됐다. 현재는 질병관리청 콜센터 번호로 남았지만, 과거 ‘1339’는 병원 선정과 전원, 일반인 의료 상담 등의 역할까지 도맡았다. 지금처럼 구급대와 병원이 발을 동동거리며 전화하는 업무를 대신하는 역할을 한 것이다.

보건복지부는 ‘응급실 뺑뺑이’가 반복되자 지역 응급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지역응급의료상황실’을 만들겠다는 대책을 최근 제시했지만, 구체적인 운영 방안은 아직 마련하지 않은 상태다. 복지부는 의료상황실을 통해 이송하는 환자는 병원에서 의무적으로 수용하는 대책 등을 준비하지만 지역 의료계에서는 현실에 맞지 않다며 반발이 거세다.

과거 부산의 ‘1339’ 팀장을 맡았던 대한손상협회 배석주 사무총장은 "현재 구급상황센터는 병원으로 환자 수용 가능 여부를 문의하는데, ‘1339’는 의사에게 직통으로 연결할 수 있는 네트워킹을 갖추고 있었다"면서 "‘1339’의 병원 간 전원 시스템을 다시 구축해야 '응급실 뺑뺑이'를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서유리 기자 yoo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