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봄시설 확충” 부산 총선 후보자 43명 중 16명 공약

김한수 기자 hangang@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선거 공보로 본 부산 교육 공약

AI 교육확대도 주요 공약 제시
국힘은 영어교육 강화에 방점
초중고 시설 확충도 단골 공약
학생 감소 추세 안 맞는 공약도

지난달 26일 부산 남구 문현초등학교 늘봄학교에서 유튜버 겸 개그맨인 김원구·박이안 씨가 재능기부를 하고 있다. 이재찬 기자 chan@ 지난달 26일 부산 남구 문현초등학교 늘봄학교에서 유튜버 겸 개그맨인 김원구·박이안 씨가 재능기부를 하고 있다. 이재찬 기자 chan@

22대 총선에 출마한 부산 지역 후보자들이 인공지능(AI) 교육 실시와 늘봄시설 확대, 영어교육 활성화를 교육 분야 주요 공약으로 내세운 것으로 나타났다. 후보자들은 여야 없이 초등학생과 청소년을 위한 공간 설치를 약속했다. 일부 후보는 현실과 동떨어진 교육 공약을 공개해 실현 가능성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늘봄시설 확대·AI 교육 ‘대세’

〈부산일보〉가 부산 18개 지역구에 출마한 국회의원 후보자 43명의 선거 공보에 실린 교육 관련 공약을 조사한 결과, 부산 출마자 상당수는 늘봄(돌봄)시설 확충과 AI 교육 확대를 주요 교육 공약으로 내세웠다. 늘봄시설 확충을 주장한 후보는 43명 중 16명에 달했다.

과밀학급이 많은 강서구에 출마한 김도읍(국민의힘) 후보는 늘봄 전용학교 건립과 늘봄교실 확대를 공약으로 내걸었다. 경쟁자인 변성완(더불어민주당) 후보도 ‘온 동네 초등돌봄’ 도입을 약속했다.

AI 관련 교육 확대를 공약한 후보도 8명이었다. 민주당 박인영(금정) 후보는 AI 온라인 교육플랫폼을 활용한 맞춤형 학습 지원을 교육 분야 대표 공약 중 하나로 제시했다. 국민의힘 서지영(동래) 후보는 제2 소프트웨어·AI 교육 거점센터·AI 융합교육 중심고교 지원을 제안했다. 민주당 홍순헌(해운대갑) 후보는 해운대 AI 융합교육 캠퍼스 설립을 공약했다.

국민의힘 후보 상당수는 영어 교육 강화를 약속했다. 서병수(북갑)·이성권(사하갑) 후보는 나란히 영어 학습을 위한 글로벌빌리지 유치를 선언했다. 백종헌(금정) 후보도 금정구에 글로벌에듀 아카데미센터를 유치해 사교육비 절감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곽규택(서동)·주진우(해운대갑) 후보는 각각 해외 명문대 분교 유치와 국제교육화 특구 도입을 선거 공보에 담았다.

■연합기숙사 설립·지방대 무상교육 공약도

후보자들은 지역구 내 초중고 시설 확충도 공약으로 내걸었다. 남구에 출마한 국민의힘 박수영 후보는 다목적 강당 신축을, 경쟁자인 민주당 박재호 후보는 스마트횡단보도 설치를 제안했다. 민주당 최형욱(서동) 후보는 부산고·경남고 명문고 부활 프로젝트를 공약으로 내걸었다. 초등학생 통학로 안전 강화를 제시한 후보도 많았다.

국민의힘 정동만(기장) 후보는 지역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위한 연합기숙사를 서울에 건립하는 계획을 제안했다. 민주당 윤준호(해운대을)·녹색정의당 김영진(중영도) 후보는 비수도권 국립대 전면 무상교육 실시를 대표 공약으로 밝혔다. 민주당 유동철(수영) 후보는 방학 중 학교 급식 지원과 아동·청소년 1000원 식당 설치를 제안했다.

■실현 가능성 낮은 공약도 포함

일부 후보는 교육 환경 변화와 동떨어진 공약을 내놨다. 변성완 후보는 강서교육지원청을 독립 설치하는 공약을 내놨다. 부산시교육청은 현재 5개(서부·남부·북부·동래·해운대) 교육지원청을 운영하고 있다. 시교육청은 학령인구 감소 등을 고려해 2007년 부산진구 부암동 동부교육지원청을 남부교육지원청으로 편입시키기도 했다. 학생과 교사 모두 줄고 있는 상황에서 교육지원청을 추가로 설치하기는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성권 후보가 공약한 ‘부산시교육청 제2청사 유치’도 학령인구 감소 추세와 맞지 않는다는 평가다.

‘일반고 내신등급 상향’ 역시 쉽게 달성하기 어려운 공약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박인영 후보는 학생들이 대입 내신 등급을 좀 더 높게 받을 수 있도록 일반고 정원 수를 확대하는 공약을 제시했다. 해당 공약은 전국 단위로 검토가 필요하다. 진보당 노정현(연제) 후보는 초중고에 천연잔디 운동장을 확대하는 공약을 내놨다. 교육계에서는 관리 인력·비용을 고려할 때 타당하지 않다는 평가가 나온다.

부산일보 제22대 총선자문단 김동찬 위원은 “교육지원청이나 시교육청 제2청사 건립은 학령 인구가 줄고 있는 상황에 설득력을 얻기 힘든 공약”이라고 꼬집었다. 김 위원은 “지역 현실을 잘 살피고 청소년과 아이들의 안전, 실력 향상을 위한 현실적인 공약이 더욱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J교육연구소 전영근 대표는 “AI·영어 교육 강화는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분야를 잘 파악한 공약으로 보인다”며 “교육 공약은 교육청과 지자체, 학교의 협력이 필요한 만큼 후보들은 면밀한 공약 검토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김한수 기자 hangang@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