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배너
배너

탄핵 정국 급변에도 윤 대통령은 침묵…사실상 칩거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페이스북
트위터
해병대 예비역연대 관계자들이 지난 5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인근에서 ‘국헌문란 내란수괴 윤석열을 참수하라’ 기자회견을 마친 뒤 대통령실 방향 도로에서 경찰과 대치하고 있다. 연합뉴스 해병대 예비역연대 관계자들이 지난 5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인근에서 ‘국헌문란 내란수괴 윤석열을 참수하라’ 기자회견을 마친 뒤 대통령실 방향 도로에서 경찰과 대치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의 6일 “윤석열 대통령 직무집행 정지” 발언으로 ‘탄핵정국’이 급변하고 있지만 윤 대통령은 침묵을 지키고 있다. 대통령실 내부에서는 이날 오전까지도 국회 표결 전 윤 대통령의 직접 담화는 없을 것이라는 분위기가 이어졌다.

대통령실은 지난 4일 오전 4시 27분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해제 발표 이후 6일 오전까지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입장을 내지 않고 있다. 윤 대통령은 계엄 해제 발언 이후 공개석상에 모습을 보이지 않은 채 사실상 칩거 상황이다.

대통령실은 전날 정진석 비서실장이 신임 국방부 장관 인사 발표를 위해 브리핑룸에 나타난 것을 제외하고는 구성원 모두가 계엄과 관련해 함구하고 있다. 정 실장의 인사 발표도 2분 남짓에 불과했다. 정 실장은 발표 후 기자들의 질문을 뒤로 하고 말없이 브리핑룸을 빠져나갔다.

계엄 해제 이후 공개된 윤 대통령의 가장 최근 행적도 군 인사 관련이다. 윤 대통령은 계엄 선포를 건의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면직을 재가하고,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의 사의를 반려했다. 박 총장은 ‘6시간 계엄’ 당시 계엄사령관에 임명됐다.

정치권에서는 지난 5일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 사태에 대해 사과하고 그 배경을 설명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됐다. 여권 일각에서도 윤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 요구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윤 대통령이 이번 계엄이 합법적이고 문제 될 것이 없다는 인식을 바꾸지 않는 한, 이에 기반한 대국민 담화는 여론을 더 악화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우세했다는 후문이다.

전날 탄핵안 부결을 당론으로 정한 여당 내 기류가 급변하면서 대통령실이 침묵 모드를 유지할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는 6일 오전 최고위원회에서 “윤 대통령의 조속한 직무집행정지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고 발언했다. 6선의 조경태 의원이 여당 의원 중 처음으로 탄핵 찬성 입장을 표명했다. 대통령실은 이에 대해 별다른 입장을 내지 않은 채 여당인 국민의힘과 국회의 급박한 상황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관련기사

라이브리 댓글

닥터 Q

부산일보가 선정한 건강상담사

부산성모안과병원

썸네일 더보기

톡한방

부산일보가 선정한 디지털 한방병원

태흥당한의원

썸네일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