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12일 비공개 만찬 회동을 갖는다. 이 대표는 전당대회 당권 경쟁자였던 김두관 전 의원과도 조만간 만날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표가 대선을 염두에 두고 본격적인 ‘외연 확대’ 행보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그러나 민주당 내부에선 친명(친이재명)계가 이 대표의 경쟁자인 김동연 경기지사에 대한 ‘공세’에 나서는 등 비명계와의 갈등이 계속되는 모습이다.
민주당 관계자에 따르면 이 대표는 12일 서울에서 김 전 비대위원장과 만나 정국 현안에 대해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이번 회동은 이 대표 측에서 먼저 제안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두 사람의 만남에서는 의료 대란 등이 중점 논의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 대표는 지난 5일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과 만났고 향후 각 분야 인사들과 만나 의견을 듣는 자리를 계속 만들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과정에서 전당대회 경쟁자였던 김두관 전 의원과도 만날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표가 이처럼 각 분야 주요 인사들을 만나는 데 대해선 외연 확장을 통한 중도층 공략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친문(친문재인)계인 최재성 전 청와대 정무수석은 11일 KBS 라디오 ‘전격시사’ 인터뷰에서 “총선에서 비명, 반명 의원들이 완벽하게 제거됐고 지금은 이 대표가 새로운 정치적 시도를 해야 될 시점”이라며 “외향적으로 확장하는 행보를 시작할 때가 된 것이고 그 일환으로 이것(김 전 비대위원장과의 회동)을 해석해야 된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최근 각 분야 인재 영입에도 속도를 내고 있어 ‘대선 준비’를 위한 작업을 시작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와 관련 당 인재위원장인 정성호 의원은 11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 인터뷰에서 “이 대표가 외부의 전문가들을 많이 영입했으면 좋겠다는 취지의 말을 했다”고 밝혔다.
정 의원은 인재 영입이 ‘섀도캐비닛’(예비내각)이라는 분석에 대해선 “조금 많이 나간 게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그러나 ‘대선을 염두에 둔 거대한 싱크탱크의 구축’이 아니냐는 질문에 “그런 측면도 있다”면서 “민주당만이라도 정책적인 역량을 제고해야 된다는 게 이 대표의 확고한 뜻”이라고 말했다.
이 대표가 이처럼 대선 준비를 위해 중도·외연 확장에 나섰지만 당내 계파 갈등이 사라진 것은 아니라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로 이 대표의 경쟁자로 부각된 김동연 경기지사가 ‘전국민 25만 원 지원’에 공개적으로 반대 목소리를 냈고 이에 대해 친명계가 비판 공세에 나서면서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당내에선 김 지사에 대한 강성 친명계의 공격에 대해 비판 목소리가 나온다. 최재성 전 수석은 이와 관련 “(당내) 몇 분 의원들이 민주당 국회의원이 맞느냐는 생각이 들 정도로 과도하고 선을 넘은 공격을 (김 지사에게) 했다”면서 “‘(김 지사의 전국민 25만 원 반대 주장이) 모피아적 발상’이라는 것은 인신공격성의 수준 떨어지는 반응”이라고 비판했다.
민주당에선 행정안전위원장인 신정훈 의원이 김 지사 발언에 대해 “기재부 공무원들을 모피아라고 부르는 이유가 있다”고 비판한 바 있다. 서울 영등포구청장 출신인 채현일 의원도 김 지사를 향해 “보편적 복지는 민주당이 견지해 온 가치”라며 “민주당 단체장으로서 부적절한 발언이다. 철회하시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당내 강경파 의원들의 김 지사 비판에 대해선 ‘친명 좌장’ 정성호 의원도 “김 지사도 일관되게 민생이 어려울 때 재정이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된다는 말을 했다”면서 “당내 일부 의원들의 오해가 있지 않나하는 생각을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김 지사는 전국민 25만 원 지원에 대해 반대하며 소득 계층에 따른 선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유지했다. 김 지사는 11일 ‘시선집중’ 인터뷰에서 “지금은 코로나 때와는 지금 상황이 많이 다르다”면서 “코로나 때는 전 국민이 다 고통을 받았지만 지금은 경제가 어렵지만 고소득층은 오히려 소득이 늘어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지사는 친명계인 이한주 민주정책연구원장이 자신의 ‘선별지원론’에 대해 “너무 작은 시각”이라고 비판한 데 대해서도 “제 (발언) 취지를 잘 모르시는 것 같다”고 반박했다. 김 지사는 “경기 활성화 대책이라면 소비 진작을 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가야 된다”면서 “고소득층에게 이 돈(지원금)을 준다고 해서 그게 소비로 연결이 되겠느냐. 오히려 두텁고 촘촘하게 지원받은 서민이나 취약계층이 더 많은 소비를 할 수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