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배너
배너

현실이 된 트럼프 철강 관세… 지역 수출 업계 ‘패닉’

윤여진 기자 onlypen@busan.com , 박지훈 기자 lionking@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페이스북
트위터
도널드 트럼프(오른쪽)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 시간) 전용기 안에서 “10일(현지 시간)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관세를 모든 국가에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오른쪽)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 시간) 전용기 안에서 “10일(현지 시간)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관세를 모든 국가에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AFP연합뉴스

트럼프 2기의 철강 관세 부과가 현실이 되면서 지역 경제의 주요 축을 담당하는 철강업계가 초비상이다. 철강과 알루미늄이라는 특정 상품을 대상으로 한 미국의 전 세계적인 관세 조치와 중국산 저가 공세로 지역 기업의 대미 수출 타격이 심각할 것으로 우려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9일(현지 시간) 대통령 전용기에서 취재진에게 “10일(현지 시간)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 부과를 발표할 예정”이라며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철강 제품은 25%의 관세를 내야 한다”고 밝혔다. 부과 대상 국가를 ‘모두’라고 언급하면서 세계를 대상으로 한 대대적인 관세 전쟁을 예고한 것이다.

철강은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 직후부터 별도 관세 의지를 피력한 바 있다. 취임 후인 지난달 31일 백악관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관세를 반도체·의약품과 함께 묶어 수개월 내 부과하겠다고 언급했는데, 부과 시점을 크게 앞당긴 셈이다.

이에 대미 수출 비중이 큰 지역 철강업체들은 패닉 상태다. 부산상공회의소 집계 결과 철강을 제조·가공해 미국 등 해외로 수출하는 업체는 22곳 정도로 파악된다. 철강을 수입·가공해 국내외에 납품하는 업체까지 따지면 40여 곳 정도로 추산된다. 이들 업체들은 트럼프 1기 때와 달리 관세가 부과되면 가격 경쟁력을 상실할 것을 우려한다.

트럼프 1기 행정부는 2018년 무역확장법 232조를 철강에 적용해 국가 안보를 이유로 전 세계 철강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한 바 있다. 한국은 당시 연평균 수출량(383만t)의 70% 수준인 263만t에 대해 무관세 쿼터(할당량)를 적용받았다. 수출 물량을 대폭 낮춰 무관세 혜택을 받은 것이다.

대미 수출량이 30% 가까이 되는 지역업체 A사는 “어떤 품목에 관세가 부과되는지 구체적으로 알 수 없는 상황에서 기업 차원에서 할 수 있는 일은 없다”면서도 “어떤 식으로든 관세가 부과되면 글로벌 통상 환경이 위축되는 것이어서 손해를 볼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우려했다.

중국이 미국 외 지역에 저가 제품 덤핑 공세를 펼칠 가능성이 커지면서 국내 철강업체들의 수출 다변화도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미국 현지 공장을 운영 중인 지역업체 B사는 미국 현지 생산량을 늘리는 것도 고려 중이다. C사는 “정부 차원의 해법이 절실한 만큼 정부 대응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며 “수출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을 위한 지자체 차원의 정책자금 지원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주요 철강사들도 비상이 걸렸다.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 주요 철강사는 비상 체제를 가동하고 상황 파악에 나섰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외에 구체적인 내용이 없어 예상 가능한 시나리오를 검토하며 대응 방안을 모색 중이다. 일각에선 이들 주요 철강사들이 이를 계기로 내수시장을 공고히 하는 등 체질 개선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수출 중심의 D사는 “유럽과 중국은 끊임없는 인수합병을 통해 가격 경쟁력과 품질 확보에 집중했다”며 “철강이 자동차 등 한국 주요 산업과 연계된 만큼 이들의 내수 활성화를 위한 대책 마련에도 신경 쓸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라이브리 댓글

닥터 Q

부산일보가 선정한 건강상담사

부산성모안과병원

썸네일 더보기

톡한방

부산일보가 선정한 디지털 한방병원

태흥당한의원

썸네일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