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대학의 의대생 휴학계 반려 시한이 다가왔지만, 의대생 단체는 소송까지 거론하며 복귀 거부를 공식화했다. 의대생 복귀 ‘데드라인’도 임박했지만 강 대 강 대치 속에 대규모 유급·제적 사태가 현실화하고,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정원 원상복구 등 정부 측 제안도 무산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대한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이하 의대협)는 지난 20일 각 의과대학 학생 대표 명의의 공동 성명서를 내고 “적법하게 제출한 휴학원은 여전히 유효하다”며 “휴학계 처리 과정에서 부당한 처우를 당한다면 회원 권익 보호를 위해 소송을 비롯한 모든 수단을 강구할 것이다”고 밝혔다.
의대협은 지난 19일 의대를 둔 40개 대학 총장 모임인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이하 의총협)’이 21일까지 휴학계를 일괄 반려하기로 결의한 내용에 대해서도 비상식적인 행태라며 반발했다. 의대협은 “이번 휴학원서 반려 조치는 그저 교육부가 내린 자의적인 지침에 따라 총장들이 담합하여 결정한 비상식적인 행태에 불과하다”며 “학생은 자신의 학업 계획과 상황에 따라 휴학을 신청할 권리가 있다”고 밝혔다.
의대협의 복귀 거부 엄포에 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도 가세했다. 20일 의협은 브리핑문에서 “개인적 사유로 휴학 신청을 하는 것을 승인하지 않는 건이 일반적인가를 묻고 싶다”며 “아울러 제적을 운운하는 것은 학생들을 보호하는 것이 아닌 압박으로 인식된다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다”고 밝혔다.
대학들은 앞서 19일 의총협이 결의한 대로 휴학계를 일괄 반려하는 모습이다. 부산대는 20일 의대생 600여 명의 휴학계를 반려했고, 전북대와 조선대 등도 휴학계를 승인하지 않고 반려했다.
대학별 복귀 시한도 이미 다가왔거나 대부분 일주일 이내로 임박했다. 21일 고려대, 연세대, 경북대 의대를 시작으로 대부분 의대는 복귀 시한을 3월 말로 정했다. 다음 주를 복귀 시한으로 정한 대학은 건양대, 서울대·이화여대·부산대(27일), 경희대·인하대·전남대·조선대·충남대·강원대·가톨릭대(28일) 등이다.
앞서 교육부는 3월 말 의대생 전원 복귀를 전제로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정원을 증원 이전 수준인 3058명으로 되돌리겠다고 발표했다. 교육부가 올해는 학사 유연화 등을 통한 배려 조치가 불가하다는 입장을 못 박아온 만큼 의대생이 대학별 복귀 시한 이후로도 복학하지 않는다면 대규모 유급·제적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