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25일 열리는 에어부산 주주총회에서 에어부산 분리 매각에 대한 질의를 하지 않을 전망이다. 부산시가 에어부산 이사회에 당연직으로 참여하는 상황에서 분리 매각에 대해 침묵하는 것은 ‘직무유기’라는 비판이 나온다.
에어부산은 이번 주주총회 소집 공고문에서 ‘기타비상무이사’로 부산시 허남식 신공항추진본부장을 임명한다고 23일 밝혔다. 지난해 12월 임명된 허 본부장은 이번 주총에서 에어부산 기타비상무이사로 이사회에 참여하게 된다.
허 본부장은 이번 주총과 관련, 에어부산 주주인 부산시가 분리 매각이나 통합LCC 본사 유치에 관한 질의를 할 계획이 있는지에 대해 “없다”고 말했다. 허 본부장은 “에어부산 분리 매각 등은 대한항공과 논의할 문제”라면서 “에어부산에 이야기할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에어부산 이사회에 참여하고 있는 부산시가 분리 매각 등 핵심 사안과 관련해 침묵하는 데 대해선 이사회 참여 취지를 망각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에어부산이 진에어 중심의 통합LCC에 편입되면서 ‘지역 거점항공사’가 사라질 위기에 처했기 때문이다. 부산시의 소극적인 대응은 대한항공에 대한 ‘압박카드’를 스스로 던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에어부산의 내부사정에 정통한 한 항공업계 관계자는 “부산시는 에어부산 이사회에 참여한 이후 사실상 ‘거수기’ 역할만 했다”면서 “에어부산의 항공기 축소 등의 안건에 대해서도 부산시는 반대 목소리를 내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항공기 보유 대수 축소 등은 에어부산의 지역 거점항공사 역할 축소와 지역 여객의 불편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 부산시가 견제 목소리를 내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이 관계자는 “에어부산 분리 매각을 추진하던 부산시가 돌연 통합LCC 본사 유치로 입장을 바꿨지만 실제 통합LCC 항공기를 부산에 등록하지 않는다면 본사 유치는 유명무실한 조치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부산시는 대한항공의 에어부산 분리 매각 거부와 관련해 “통합LCC 본사 부산 유치가 해법”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대한항공이 LCC 통합을 진에어 중심으로 추진할 가능성이 높아 본사 유치 가능성이 낮다는 지적이 나온다. 통합LCC 본사를 부산에 유치한다고 해도 LCC 항공기가 부산에 등록되지 않을 경우 ‘무늬만 본사 이전’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