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배너
배너

헌재 윤 대통령 탄핵심판 '4월 선고설' 솔솔

곽진석 기자 kwak@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페이스북
트위터
25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 각하를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25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 각하를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이 접수된 지 100일이 넘었지만, 헌법재판소는 여전히 탄핵심판 선고일 지정을 미루고 있다. 26일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 선고가 예정돼 있다. 윤 대통령 탄핵심판 28일 선고를 위해선 26일 전까지 헌재가 선고일을 정해야 하는데, 지정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 경우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는 다음 주인 4월로 또 한 번 미뤄지게 된다.

헌재는 지난 24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탄핵심판 선고기일을 열고 기각 결정을 내렸다. 서울고등법원은 26일 오후 이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항소심을 선고한다. 이 대표가 앞서 1심에서 피선거권 상실형(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은 만큼, 26일 법원 판단은 이 대표의 대권 가도를 흔들 민감한 재판으로 꼽힌다. 이 같은 상황에서 헌재가 26일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을 지정할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날엔 고교 3학년 전국 모의고사가 예정돼 있는 데다, 이 대표 2심 선고 결과에 따라 여야 지지자 충돌 우려도 제기된다. 이날 곧바로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을 지정할 경우 지지층을 더욱 자극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헌재가 연이틀 선고를 내린 전례가 없던 것으로 알려지면서 한 대행 탄핵심판 선고에 이어 같은 주에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이뤄질 확률이 낮다는 논리가 힘을 얻고 있다.

한 대행 탄핵심판 판단에서 헌법재판관 의견이 기각 5명, 각하 2명, 인용 1명 등으로 나뉜 것도 선고일 지정 연기의 배경 중 하나로 꼽힌다. 현직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에서도 헌법재판관 의견이 갈릴 경우, 국민 분열이 심화할 수 있다는 우려에 '전원일치'를 조율 중인 게 아니냐는 것이다.

국회 윤석열 대통령 탄핵 소추 단원인 더불어민주당 이용우 의원(가운데)이 2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정문 앞에서 헌재의 윤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 기일 신속 지정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에 참석해 회견문을 낭독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회 윤석열 대통령 탄핵 소추 단원인 더불어민주당 이용우 의원(가운데)이 2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정문 앞에서 헌재의 윤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 기일 신속 지정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에 참석해 회견문을 낭독하고 있다. 연합뉴스

헌재가 26일에도 선고일을 지정하지 않으면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는 사실상 다음 주로 넘어간다. 지난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에서 헌재는 선고 2~3일 전 선고일을 통보해 왔기 때문이다. 26일이 사실상 이번 주 내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위한 선고일 지정 기한인 셈이다.

당초 28일을 유력한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로 전망하던 정치권 내 기류도 바뀌는 모양새다. 한 여권 관계자는 "28일 선고 가능성도 여전하지만, 한 대행 선고와 이 대표 2심 선고에 이어 한 주에 현직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까지 이뤄지는 건 쉽지 않다고 본다"고 말했다.

한편, 윤 대통령 탄핵심판 심리가 길어지면서 정치권 피로감도 가중되고 있다. 민주당은 연일 광화문 천막 당사에서 회의를 열고 국회에서 광화문까지 도보 집회를 이어가는 등 '집단 행동'이 일주일을 넘어서고 있다. 국민의힘도 헌재 앞 릴레이 1인 시위와 단체 피켓 시위를 여는 등 거리 집회를 이어가고 있다.


관련기사

라이브리 댓글

닥터 Q

부산일보가 선정한 건강상담사

부산성모안과병원

썸네일 더보기

톡한방

부산일보가 선정한 디지털 한방병원

태흥당한의원

썸네일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