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의 시민단체가 부산시에 에어부산 주주로서 적극적 역할을 하라고 압박하고 나섰다. 에어부산 분리매각 등에 대해 부산시가 적극 반대해 시민의 목소리를 대변해야 한다는 게 이들 단체의 주장이다.
‘미래사회를준비하는 시민공감’ ‘가덕도허브공항시민추진단’ 등 시민단체는 에어부산 주주총회가 열린 25일 부산 강서구 에어부산 사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부산시는 에어부산 주주총회에서 부산시민의 목소리를 강력 대변하라”고 요구했다.
이들 시민단체는 이번 주주총회에서 에어부산의 기타비상무이사로 선임되는 허남식 부산시 신공항추진본부장이 시의 분리매각 관련 질의 거부 방침을 밝힌 데 대해 “부산시가 지역홀대 여론에 지탄받고 있는 대한항공의 편에 서서 하늘길 독점의 빌미를 제공하고 대한항공을 감싸는 꼴”이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에어부산의 대표이사 및 임원진이 대한항공 출신들로 대거 포진됐고 진에어 에어부산 에어서울을 수직관계로 놓은 대한항공이 진에어 중심의 LCC 통합을 착착 진행하는데도 침묵으로 일관하는 부산시는 지역의 향토기업을 살리고자 하는 노력도, 지역거점항공사를 존치하고자하는 가치관도, 가덕도신공항의 성공을 향한 철학도 상실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에어부산을 분리매각할 골든타임이 있었음에도 부산시는 오히려 수수방관하며 산업은행, 국토부, 대한항공의 수도권일극주의에 눈치 보며 부산시민의 간절한 요구를 외면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부산시의 에어부산 지분은 부산시민이 주인이며, 에어부산 이사회에 부산시민을 대표해 부산시가 당연직 이사로 참석하는 것은 개인의 직함이 아니라 부산시민을 대신하는 자리”라면서 “부산시의 지분, 부산시민 혈세가 투입됐는데도 에어부산이 공중분해되고 이름도, 역사도, 흔적도 남김없이 대한항공의 먹잇감이 되는 것에 부산시가 계속 수수방관으로 동조한다면 이는 직무유기를 넘어 에어부산 공중분해의 주적으로서 그 책임이 크며 우리 시민단체는 부산시의 배임행위 여부도 적극 검토할 것임을 경고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