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4월 2일 상호관세 발표를 앞두고 많은 국가에 대해 면제를 줄 수도 있다고 밝혔다. 또 해당국가보다 관세율이 오히려 낮을 수 있다고 말했다. 상호관세에 대해 유연한 입장을 표시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진행한 현대차그룹의 대미 투자 발표 행사에서 ‘상호관세 부과 때 일부 국가나 부문이 면제될 수 있느냐 아니면 완전히 상호적이냐’는 질문을 받고 “나는 많은 국가(a lot of)에 면제를 줄 수도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것은 상호적이지만 우리는 그것(상대국의 관세)보다 더 친절(nice)할 수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러면서 “우리는 향후 며칠 내에 추가로 관세를 발표할 것이며 이는 자동차, 목재, 반도체와 관련돼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발표 때 부문별 관세도 같이 부과되느냐는 질문에 “그것은 모든 것이 될 것”이라면서도 “모든 관세가 그날 (발표에) 포함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자동차도 할 것이다. 우리는 아마도 향후 며칠 내, 상당히 곧 발표할 것”이라면서 “그리고 4월 2일이 오면 상호관세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자동차 관세가 상호관세보다 발표를 먼저 할 것이라는 언급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율 수준에 대해 “상호적인 관세지만, 우리는 상대국보다 적게 부과시킬 수도 있다. 왜냐하면 그들이 너무 많이 부과하기 때문에 미국이 그대로 상호관세 매기면 그들이 감당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언급으로 그동안 관세가 촉발한 경제 불확실성에 시달렸던 세계 경제가 다소 진정될 가능성이 생겼다. 월스트리트저널 등 미 매체들이 트럼프 행정부가 상호관세 발표 때 품목별 관세를 동시에 발표하는 것은 보류하는 방향으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으로 이날 증시에서 테슬라는 11.93% 급등했고 엔비디아(3.15%), 메타(3.79%), 알파벳(2.25%) 등 최근 조정 국면에서 낙폭이 컸던 대형 기술주들도 강세로 마감했다.
CFRA리서치의 샘 스토벌 최고 투자전략가는 “투자자들이 약간의 안도감을 느끼고 있지만 동시에 이것이 얼마나 오래 지속될지에 대해선 회의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며 “인위적인 증시 조정을 초래한 원인은 아직 사라지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