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배너
배너

‘통합’ 갈등에 “민주당 계엄령” 표현까지 등장한 민주당… 친명-비명 ‘정면 충돌’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페이스북
트위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대표가 1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 참석해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대표가 1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 참석해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일극 체제’를 둘러싼 더불어민주당의 계파 갈등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이재명 대표의 ‘내부 총질’ 지적과 유시민 작가의 비명(비이재명)계 대권주자를 향한 ‘인신공격’에 대해 “민주당 계엄령 선포냐”는 지적까지 나왔다. 그러나 친명계에선 비명계 대권주자를 향해 “답답하다” “탈당파에 왜 사과해야 하느냐”며 ‘통합 요구’를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문재인 정부에서 청와대 정무수석을 지낸 최재성 전 수석은 11일 YTN라디오 ‘뉴스파이팅, 김영수입니다’ 인터뷰에서 이 대표의 ‘내부 총질’ 주장을 강하게 반박했다. 최 전 수석은 “통합하자는 얘기에 내부 총질이라고 몰매를 놓듯이 하는 것은 무슨 착각을 하는 것이냐”고 비판했다. 이 대표는 지난 3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총구는 밖으로 향했으면 한다”면서 당내 비명계 인사들의 ‘이재명 일극 체제’ 비판을 ‘내부 총질’로 규정했다.

최 전 수석은 비명계의 통합 요구에 ‘내란 종식’에 집중할 때라고 반박하는 친명계의 주장도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민주당 계엄령을 선포한 것도 아니고 통합하자는 말에 내란 종식이나 탄핵을 먼저 해야지 내부 분열, 내부 총질을 하느냐는 식으로 한다”면서 “정권 교체, 대선 승리를 위해 통합하라는 이야기조차 하지 말라는 계엄령이냐”고 지적했다.

실제로 민주당 친명계는 이재명 일극 체제 비판에 대해 “지금은 내란 종식을 위해 단합할 때”라며 이 대표 중심으로 뭉쳐야 한다고 반박하고 있다. 민주당 ‘친명계 좌장’ 정성호 의원도 11일 KBS 라디오 ‘전격시사’ 인터뷰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내란과 계엄을 정당화 시키는 세력이 결집하는 상황에서 우리 당도 거기(내란 대응)에 집중하는 게 우선돼야 하는 게 아닌가”라고 말했다.

최 전 수석은 유시민 작가가 비명계 대권주자에 대해 “배은망덕하다” “책 읽어라” “지도자 행세 하지 말아라” “다른 직업을 찾아라”고 비난한 데 대해서도 “조롱과 모멸”이라고 지적했다. 최 전 수석은 “유 작가는 이 대표에 대해 지지하는 정도가 아니라 거의 복명을 한다”면서 “(비명계 대권주자에게) 적의에 가득 차고 모멸적인 언어를 구사를 하는 것은 민주당에 도움이 안 된다”고 비판했다.

지난 총선에서 공천을 받지 못해 ‘비명횡사’의 대표 사례로 지목됐던 당내 비주류 박용진 전 의원도 “민주당은 윤석열 정당과 달라야 한다”면서 일극 체제를 비판했다. 박 전 의원은 이날 BBS 라디오 ‘신인규의 아침저널’ 인터뷰에서 “윤석열은 자기하고 생각 다른 사람은 다 당에서 쫓아내고 내쳤다”면서 “민주당은 달라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 전 의원은 “이 대표도 ‘나도 윤석열처럼 당 안에서 생각이 다른 사람들을 쳐낸 건 아닌가’ ‘내 주변 사람들이, 유시민·최민희 이런 분들이 했던 이야기가 과연 정당한가 생각해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친명계에선 비명계를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 나온다. 친명 성향의 박주민 의원은 이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인터뷰에서 당내 다양성을 강조한 김경수 전 경남지사의 발언에 대해 “김경수 지사 보고 출마하지 말라고 누구도 말한 적 없다”고 반박했다. 박 의원은 유시민 작가에 대해서도 “바깥에서 민주당 대선 후보군에 대해서 이렇게 저렇게 말할 수 있다”면서 “유 작가에게 말하지 말라고 하겠느냐”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김 전 지사의 탈당 인사 복당 주장에 대해서도 “답답하다”면서 “그분들(탈당파)한테 저희가 사과를 해야 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친명계는 김부겸 전 총리 등 비명계 대권주자들이 주장하는 개헌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태도를 보였다. 친명계 박성준 의원은 이날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 인터뷰에서 “지금 윤석열 내란이 완전히 진압되지도 않은 상황에서, 개헌을 할 수 있느냐”면서 “내란을 잘 정리를 하고, 국가를 회복시켜야 하는 데 지금은 그런 (개헌을 이야기할) 시점은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라이브리 댓글

닥터 Q

부산일보가 선정한 건강상담사

부산성모안과병원

썸네일 더보기

톡한방

부산일보가 선정한 디지털 한방병원

태흥당한의원

썸네일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