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배너
배너

다대포 해상풍력 급물살… 6000억 원 돈바람 불어온다

박혜랑 기자 rang@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페이스북
트위터
다대포 해상풍력 사업으로 6000억 원대의 단지 운영·유지 시장이 열릴 것으로 예상된다. 17일 사하구 레이어스 호텔에서 열린 ‘2025 부산 해상풍력 공급망 로드쇼’. 박혜랑 기자 rang@ 다대포 해상풍력 사업으로 6000억 원대의 단지 운영·유지 시장이 열릴 것으로 예상된다. 17일 사하구 레이어스 호텔에서 열린 ‘2025 부산 해상풍력 공급망 로드쇼’. 박혜랑 기자 rang@

부산 첫 해상풍력단지로 유력한 다대포 해상풍력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면서, 부산 지역 중소기업들에게 사업의 운영·유지 시장이 열렸다. 단지 운영·유지에만 사업비 6000억 원이 투입되며, 직·간접적으로 발생할 일자리는 1600개에 이를 전망이다.

다대포 해상풍력의 민간사업자 코리오제너레이션은 17일 오후 2시 사하구 하단동 레이어스 호텔 24층 연회장에서 ‘2025 부산 해상풍력지역공급망로드쇼’(이하 로드쇼)를 열었다. 로드쇼는 다대포 해상풍력 사업의 건설부터 유지, 운영, 보수 등 20년간 이어질 사업 분야에서 협력할 수 있는 기업 대상으로 사업을 설명하기 위해 열렸다. 이날은 한국남부발전을 비롯해, 포스코이앤씨, 효성중공업, 대우로지스틱스 등 기업 40여 곳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다대포 해상풍력 단지를 개발하고 있는 영국계 해상풍력 발전기업 코리오 제네레이션은 2026년 5월 착공, 2028년 하반기 상업 운전을 목표로 인허가 절차를 밟고 있다. 해수부는 2023년 이 업체가 다대포 앞바다에 추진하는 발전기 12기를 짓기 위해서는 11개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는 ‘조건부 동의’를 결정했다. 코리오 측은 11개 중 ‘주민 수용성 확보’를 남겨두고 나머지는 충족한 상태다. 사업자 측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대포 해상풍력 지역협의회를 출범하는 등 주민들을 설득하는 절차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해당 사업 절차 중 유지·운영 분야에서 부산 인재와 기업이 필요한 상황이다. 코리오 측에 따르면 유지·운영 측면에 6000억 원가량의 사업비가 투입될 예정이다. 해당 업무는 선박을 타고 나가서 매일 단지를 점검하는 것뿐 아니라 단지까지 인력과 부품을 나르는 선박 관리도 포함한다. 육상에서 단지를 모니터하며 수시로 관리하는 인력과 설비 점검 등 업무까지 확장될 수 있다.

또한 부산에 업장이 없는 분야라도 해당 사업이 추진되면 다른 지역의 기업이 부산에 사무실을 세우고 인력을 고용할 수도 있다는 게 코리오의 설명이다. 또한 전기 공급 계약이 20년으로 돼 있기 때문에, 해당 기간 동안 부산 인력 교육과 고용이이 계속해서 일어날 수 밖에 없다고 덧붙인다.

건설과 설계 등의 업무와 달리 유지·운영 업무는 단지 근처에서 업무를 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반드시 부산 기업의 역할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다대포 해상풍력단지 사업으로 발생할 부산의 일자리는 약 1600개로 예상된다.

코리오 최우진 한국총괄 대표는 “해상풍력 산업이 따로 있는 게 아니다. 기존 해양플랜트 사업에서 하던 업무 하나하나를 다시 조합하면 그게 해상풍력 산업이 되고 그러한 업무들은 부산 기업들이 할 수 있는 여지가 많다”고 설명했다.

다대포 해상풍력단지는 다대포항에서 3~5km 떨어진 해상에 고정식 8MW급 발전기 12기를 설치해 총 96MW 규모로 조성될 계획이다. 발전사업허가 당시 총사업비는 6000억 원 정도로 추산됐다. 상업 운전이 시작되면 1년에 30만 MW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

최 대표는 “영국의 경우 쇠락 지역에 해상풍력 단지를 세우면서 젊은 인재들이 많이 유입됐다”며 “우수한 풍향 조건을 가진 부산이 선도적으로 다대포 사업을 성공시키면 부산의 발전뿐 아니라 아시아 시장도 노려볼 수 있다. 탄소중립이라는 글로벌 흐름을 부산이 먼저 선도할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라이브리 댓글

닥터 Q

부산일보가 선정한 건강상담사

부산성모안과병원

썸네일 더보기

톡한방

부산일보가 선정한 디지털 한방병원

태흥당한의원

썸네일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