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걀 가격 급등으로 홍역을 치르고 있는 미국이 한국 등으로부터 달걀 수입을 늘리겠다고 밝혔다.
우리나라는 최근 충남의 한 농가가 달걀 30만 개를 미국으로 수출한 적이 있는데, 앞으로 달걀 수출이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달걀은 1개의 단가가 낮은 데다 항공으로 수출해야 해 미국이 수입달걀을 시중에 저렴하게 팔 수 있을지, 이를 통해 가격을 안정시킬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브룩 롤린스 미 농무부 장관은 20일(현지시간) 업계 단체, 기자들과의 통화에서 미국이 한국에서 더 많은 달걀을 수입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최근 충남 아산의 한 농장은 국내 최초로 특란 20t(1만 1172판, 33만 5160알)을 미국 조지아주로 수출했다. 이에 따라 한국은 튀르키예, 브라질과 함께 미국이 앞으로 달걀 수입을 늘리는 주요 국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과거 우리나라에서도 수차례 있었던 일이다. 우리나라는 2016~2017년 조류인플루엔자가 크게 확산됐을 때 산란계를 살처분하면서 계란이 모자라 미국에서 계란을 수입한 적이 있었다.
2021년에도 조류인플루엔자로 전체 산란계의 22.6%에 해당하는 1671만 마리가 살처분됐다. 계란 생산량이 부족하자 1억 개가량의 계란을 수입한 적이 있었다. 하지만 우리나라 하루 계란 소비량이 4500만 개 정도여서 가격 안정에는 큰 도움이 못됐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당시 미국으로부터 수입한 달걀 한 판(30개)이 1만 원 정도였다”며 “그러나 시중 가격 안정을 위해 3000원 정도에 풀었다”고 말했다.
다만 미국이 한국에서 달걀을 언제부터 얼마나 더 많이 수입할지 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
앞서 롤린스 장관은 지난달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에 기고한 글을 통해 물가 상승의 주범으로 꼽히는 달걀 가격을 안정화하기 위해 조류 인플루엔자 퇴치 등에 최대 10억 달러(약 1조 4700억 원)를 투입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또 치료제와 백신을 연구·개발하는 프로젝트에 최대 1억 달러를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산란계는 그 숫자가 워낙 많아 백신을 통해 조류인플루엔자를 막는 방안은 전 세계적으로 시행되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도 조류인플루엔자 백신은 없다.